▲ Re-Genesis, 60.5×60.5㎝ Korea Lacquer Painting with Nature Materials on Hemp Cloth, 2001

 

따라서 속이 비어 있는 대나무 토막에서 착상했다고 하는 대롱나팔 깔때기 모양의 이미지들이 반복적으로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묘사적인 이미지로 이해를 유도하는 재현적인 그림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그림에 등장하는 이미지는 그 자체로서의 형태적인 이해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

Accordingly, regarding the repeated appearance of bamboo tubes on the surface of the painting, the idea of which was initially derived from a piece of empty bamboo, it is not a representing painting that draws a certain comprehension by the descriptive image. In other word, the images appeared on the surface of the picture is not demanding the viewers understandings solely for its shape.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롱나팔 깔때기 모양 따위의 이미지로 조금씩 다르게 변형되는 것은 동일한 이미지의 반복에서 오는 자기복제를 회피하기 위한 전략이다. 뿐만 아니라 형태를 변형함으로써 조형적인 변주에 따른 이미지의 전환이 가능해 지게 된다. 가령 나팔모양으로 형태가 변형되는 경우 여체의 곡선을 원용함으로써 단순한 나팔의 이미지를 뛰어넘어 에로틱한 정서를 이야기 한다. 이는 다른 시각에서 볼 때 의미내용의 확장을 꾀하는 일이다.

Nevertheless the reason for transforming little by little the image of bamboo tube is chiefly due to the artist’s strategy to avoid the self-copied result originated from the repetition of a same image. For instance, in case when the shape is transformed into a bugle it would evoke an erotic sentiment beyond the mere image of a bugle by application of the curved line of a female body. When viewed it from other aspect the artist must had intention to expand the meaning of contents.

 

▲ 162×130㎝, 2001

 

이렇듯이 어떤 특정의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등장시키는 것은 메시지의 전달을 강화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다. ‘만남’이라는 명제를 반복하는 것도 대나무이미지라는 시각적인 이해를 초월하는 의미내용의 강조와 관련이 있다. 대롱이나 금관악기 모양으로 형태의 진화를 거듭하는 것은 조형적인 변주를 통해 시각적인 단조로움을 극복하기 위한 선택이다.

The fact that the artist has represented repeatedly a certain specific image in her art works is due to her intention to place emphasis upon delivery of an artistic message. Also, the repeated title of ‘The Meeting’ is closely related to contents of meaning to surpass the visual effects of an image of bamboo. And, furthermore, the repeated transformation of bamboo tubes and the brass instruments is an alternative of the artist to surpass a visual simplicity through an attempt of formative variation.

물론 그림은 시각적인 이미지가 내용에 우선 한다. 내용이 아무리 심오하더라도 그림으로서 갖추어야 할 조형적인 매력이 없으면 회화적인 이상에 도달할 수 없다. 내용을 우선한다면 문자언어인 문학적인 수사가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As a matter of fact, painting would offer a visual image priory to the contents of painting. However a painting may have a profound contents, if it lacks its formative attraction it may not reach an ideal of painting. If contents is placed in prior to other factors, it would be better to express the content in a literary way. Instead of painting method.

그의 작업에서 상징적인 언어인 대롱 또는 나팔 모양으로 변주되는 대나무는 사통팔달이라는 고어가 시사하듯 ‘두루 통한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나와 타인, 안과 바깥, 나와 세계를 연결하는 통로이자 관계의 성립 즉 만남의 상징적인 메시지 역할을 하는 것이다.

In her art works, the bamboo, which has been varied to the forms of bamboo tubes and bugles as symbolic languages in her artwork, has a meaning within itself, indicating stretching in all directions, similarly defined as the old saying, ‘the road running in all directions.’ It would be directed in may ways including others and the artist, the inside and outside, and the road connecting between the world and own self as well as formation of a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s every objects in the external world; in other word, it would play a role of a symbolic message.

 

▲ 91×116.5㎝, 2001

 

즉 소통의 수단이 되는 것이다. 세계로의 확장을 모색하는 통로가 된다. 아울러 속이 비어있는 존재라는 것은 공명을 가능케 할뿐더러 무엇인가를 담을 수 있는 열린 존재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공명이란 내부로부터의 울림의 확장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미지에는 세계를 향한 이정연(RHEE JEONG YOEN)작가 자신의 메시지가 널리 울려 퍼지기를 기대한다는 상징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Paraphrasing, it would become a measure of communication. It seems that it is seeking for expansion toward the world. In addition, the state of emptiness in the inside of the object would evoke sympathy upon the painting as well as keeping its own meaning of existence. The feeling of sympathy would be generated from the inner world, and gradually ringing toward the external world. In this connection it is worth noticeable that such an image as she has adopted would be a symbolic message of her own to bring out the result of ringing spreading widely to the world.

전통적인 옻칠이라는 매재를 이용하는 그의 작업은 그 자체만으로 이미 서구적인 미학과 일정한 경계를 긋고 있다. 자연물질로서의 채색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시각적인 즐거움을 놓치는 대신에 사유의 세계를 넓히고 깊이를 얻는다. 이는 자연에 동화되는 삶을 이상으로 여기는 동양적인 사상과의 교직을 의미한다. 물론 이와 같은 작업에서는 유교적인 도덕률을 기반으로 하여 내적인 성찰을 모색하는 동양적인 사유 및 그 정서가 감지됨은 물론이다.

Her artwork with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medium lacquer painting would have already made a sector with boundary against the Western aesthetics. By applying coloring materials delivered from the natural substance, it will acquire an increased depth of profoundness and broaden the world of cogitation despite of losing a visual pleasure to a certain extent. It indicates a close communication with the traditional Oriental thoughts which values the ideal of being a life coined with nature. Besides, as a matter of fact, the viewers of her painting may perceive a certain Oriental cogitation and sentiment which seek an inner celebration based on Confucian moral doctrine in her artwork.

서구적인 미학이 의식 및 감정을 밖으로 드러내는 것이라면 동양적인 미학은 그 반대의 입장에 선다. 그의 작업은 이처럼 동양적인 정서로 깊이 물들어 있다. 서구의 현대적인 조형언어 기술법을 이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구적인 조형세계와 구별되는 점이 있다면 일단 그의 작업방향은 올바른 것이 된다. 좀 더 자유로운 여백 및 구성의 묘를 살리는 일이야말로 그에게 주어진 숙제이다.

If the Western aesthetic pursues exposure of consciousness and emotional aspects to the outer world, the Oriental aesthetics would stand at an opposite side. Therefore, in this regard, her art works has been wholly colored by an Oriental sentiment. Despite of applying the method of the modern formative language of th Western painting, her direction of artwork would be acceptable it is distinct from the formative world of Western Painting. The writer of this critique would gladly leave an assignment with her that she needs to make a further application of the marginal space and to represent an exquisite construction of painting.

△글=신항섭(미술평론가)/Shin, Hangsup(art critic)

 

키워드

#권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