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대우조선해양이 지난해 인도한 LNG선 / 출처 = 대우조선해양

‘밑 빠진 독’ 대우조선해양에 정부가 또 한번 수혈을 결정했다. 지난 2015년 10월 경영 정상화를 위해 4조2000억원 지원을 결정한 지 1년5개월만이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23일 ‘대우조선 구조조정 추진방안’을 내놓고 신규자금 2조8000억원을 추가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추가 지원은 절대 없을 것’이라던 당초 입장을 뒤집은 결과다.

그간 시장에서는 ‘혈세를 낭비한다’며 비판적인 여론이 많았지만, 대우조선을 살리는 것이 여러모로 국익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이 내려진 것으로 보인다. ‘대마불사’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정부는 2015년 대우조선 실사를 통해 지난해 수주목표를 115억달러로 예측했지만, 실제 신규수주는 15억4000만달러 수준에 그친 바 있다.

대우조선은 현재 올해 안에 9400억원, 2019년까지 총 1조3500억원의 회사채를 상환해야 하는 위기에 직면한 상태다. 정부의 도움 없이는 파산이 불가피한 셈이다.

이에 따라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대우조선에 1조4000억원씩 총 2조8000억원을 한도 방식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자구노력을 통해 소요자금을 충당한 뒤 발생하는 부족자금을 상황에 따라 넣는 것이다.

정부는 향후 채무조정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을 경우 법원의 사전회생계획제도(Pre-Packaged Plan)를 추진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P플랜’은 법정관리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통합도산법상 회생절차의 장점인 법원의 강제력 있는 채무조정 기능과 워크아웃의 장점인 신속성 및 신규자금지원 기능을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또 올해 하반기 중 대우조선 주식거래 재개도 추진한다. 시중에서 출자전환주식이 필요 시 원화하게 현금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이번 정상화방안이 계획대로 이행되면 2016년 말 기준 2732%였던 대우조선의 부채비율이 올 2021년 말 248% 수준으로 내려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