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LACTAL, Ø140㎝, Oil & Acrylic on Canvas, 2016

 

도자와 같이 보이는 시각적 효과는 배경공간을 따라 흐르다, 화면의 테두리에 이르게 된다. 물질의 일부분을 관찰하고 온갖 과학적 도구들로 들여다보면 그 미세한 조직이 생경하게 다가오는데, 서양화가 문수만에게 도자기의 굽이 그러했다. 몽글 몽글한 그 미완의 의도치 않은 그 덩어리가 오히려 도자기 전체의 가치를 넘어 서는 듯 보였다. 마치 도요토미 히데요시(豐臣秀吉)가 조선 막사발에 반했던 것처럼 말이다. 그렇게 화면의 둥근 가장자리를 차지하던 굽의 몽글몽글한 면이 중앙으로 몰려들어왔다. 겉이 안이 되고 안이 겉이 되는 시공간이 뒤집어 지는 경험과도 같다. 그 리고 그 요철을 표현하다보니 마치 금속과 같은 시각적 효과가 나타났고, 산맥과 도 같은 형태가 만들어졌다.

The visual effect making the effect be looked like a celadon flows along the picture’s background space and then reaches at the boundary of screen. At observing some parts of a material and looking into all kinds of scientific tools, their fine textures approaches newly and strangely to us. To Moon Soo-Man, the heels of pottery was alike. To the artist, the pottery’s clotty, unfinished lump of rather seemed to go beyond the value of whole celadon. Like Toyotomi Hideyoshi who was fascinated with Choson’s common bowl. The clotty plane of heels having occupied the screen’s round boundary swarmed to the center of screen. This is like an experience that the space-time is reversed with changing the external side into the internal side and converse. And while expressing the pottery’s bumping surface, the visual effect making the surface being felt like a metal was generated and the shape like a mountain range was created, too.

 

▲ Ø120㎝, 2017

 

작가는 도자기 굽의 요철을 맥(脈)으로 보았다. 그리고 더 나아가 프렉탈(fractal) 로 이름 붙인다. 사실 둘은 다른 의미가 아니다. 카오스같이 무질서 해 보이는 자연도 실상은 작은 단위가 순환적으로 반복한다는 프렉탈 원리로 설명이 된다. 나뭇잎의 잎맥이 형성된 방식처럼 나무의 기둥에서 가지가 뻗어나가고, 해안선의 작은 굴곡들이 반복되는 방식은 지구 밖 위성에서 본 해안선의 굴곡도 만들어낸다. 부분과 전체는 유사한 프렉탈 원리를 이루고 있고, 이는 순환하며 반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로 인해 자연의 모든 것들은 서로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있다. 생태계가 그러하지 않은가. 외래종이 들어오면 일대의 동물의 수가 급격히 줄거나 혹은 토종식물들이 사라지거나 하는 현상이 지금도 여전히 일어나고 있으니 말이다. 이러한 그물망은 자연 뿐 아니라 인간의 사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The artist considered a bump on the heel of pottery as a vein. And, further, he named the fractal to the bump. In fact, the both terms are not different meanings. The Nature seeming to be chaotic and disordered can be explained as the fractal’s principle that a small unit is repeated circularly. Like a way forming a leaf’s vein, a branch is put out of a tree’s trunk, and the way repeating small curves in a coastline creates a coastline’s curve seen from a satellite outside the earth. A part and a whole form similar fractal principles, and they are composed of structures being circled and repeated. Due to such circular repetition, the all things in the Nature are connected lie a network. Ecosystem is similar to this principle. The phenomenon that when foreign species enter in a region, then the number of animals in the region are rapidly reduced or native plants are extinguished sill happens. This networkwork is applied to the human society as well as the Nature.

 

▲ Ø140㎝, 2016

 

물리학자 프리초프 카프라(Fritjof Capra)는 프렉탈 이론을 인간의 사회에도 적용한다. 부모 와 자녀라는 기본 단위의 관계는 점차 이웃, 마을, 도시, 국가 등의 관계로 순환하며 반복하게 된다. 각 인간 개인은 그물망의 한 점과 같고 모든 인간들은 멀던 가깝던 그물망으로 연결되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문수만의 프렉탈 시리즈 역시 마찬가지이다. 물감을 뭉쳐 붙인 각 덩어리들은 처음에는 우연인 듯 보이지만 작가의 직관에 따라 배열된다. 그리고 그 덩어리들은 점차 맥으로 연결된다. 마치 산처럼, 그리고 인간의 핏줄처럼 말이다.

Physicist Fritjof Capra applies the fractal theory to the human society. The basic unit of parents and child gradually circles and repeats in its relations with the neighbor, the village, the city and the nation. Each individual is like a point of a network and the all humans are connected in networks regardless of far or near distance and exchanges their influences. Moon Soo-Man’s fractal series is also similar. Each lump made from the process through several paints are crumpled and pasted looks like a coincidence at first, but the all lump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artist’s intuition. And the lumps are gradually connected to the vein, like a mountain and like a human’s blood veins.

 

▲ Ø101㎝, 2017

 

또한 이는 인간 사회 속 관계의 그물망의 은유적 표현이기도 하다. 동시에 도자기 굽에서 우 연히 형성된 요철의 확대물이기도 하다. 미시적으로 굽의 한 부분이기도 하면서 도 거시적 관점에서는 인간들의 맥이기도 한 것이다. 부분과 전체가 동일한 프렉 탈의 원리를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성을 가진 프렉탈의 표면에 문수만 작가는 역사의 시간성도 얹었다. 고구려 고분벽화 속 주작과 현무가 중앙을 차지하고, 드레스덴의 벽화와 정조의 화성 행차가 표면을 지나간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나비는 표면을 떠나게 되고, 화면 밖 에서 시공간의 씨실과 날실을 목격한다.

And this is also a metaphorical expression of relation networks in human society. At the same time, it is also the expanded one of bump being accidently formed from the heel of pottery. It is a part of a pottery’s bump from the microscopic view and is also human society’s vein from the macroscopic view. It contains the fractal principle that a part and the whole is the same. On the surface of fractal having such spatiality, Moon Soo-Man added the temporality of history. Jujak(Red Bird) and Hyunmu(Black Turtle) seen on a mural of a Goguryo’s tomb occupy the center of artist’s celadon, and the mural in Deresden and King Jongjo’s Whaseong march pass the surface of screen. And in the process, the butterfly leaves the surface of screen, and observes the threads of time-space. △글=허나영(미술평론)/Na Young Hur(Art Critic)

 

▲ 문수만 작가(Painter MOON SOO MAN)

 

◇문수만(文水萬, 洋家 ムンスマン)작가

한남대학교 대학원 조형미술학과 석사졸업. △개인전13회=대전 모리스갤러리, 일본고베 GALLERY北野坂, 대구 수성아트피아 호반갤러리, 청주 현대백화점갤러리H, 서울 가나아트스페이스, 서울 인사아트센터 등.

◇MOON, SOO-MAN

1962 Born in Seoul, Korea Completed a master's course in fine arts at the Graduate School of Hannam University. △Solo Exhibitions 13times=Morris Gallery(Daejeon), Gallery Kitanozaka (Kobe/Japan), Suseong Artpia(Daegu), GalleryH(Cheongju), Gana Art Space(Seoul) ect.

 

키워드

#권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