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콩팥병 환자가 복부비만일 경우 심혈관질환 위험이 2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세계콩팥의 날(3월9일)을 맞아 만성콩팥병 환자 중 비만도가 정상이지만 복부비만이 있는 환자가 심혈관질환 위험이 가장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만성콩팥병이란 3개월 이상 만성적으로 신장의 손상이 있거나 신장 기능이 저하돼 있는 각종 질환을 의미한다.

서울대병원 등 17개 참여병원이 만성콩팥병 성인환자 1078명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 복부비만과 연관된 허리-엉덩이 비율, 관상동맥 석회화 정도를 측정해 분석한 결과 정상체중이라도 복부비만이 있는 환자에서 심혈관질환 위험이 증가했다.

만성콩팥병 환자의 가장 흔한 사망의 원인은 심혈관질환에 의한 합병증이다. 비만과 심혈관질환 위험과의 관련성은 명확한 결론이 나와 있지 않다.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콩팥병 환자의 경우 단순한 체중 증가보다는 내장 지방의 증가로 대변되는 복부비만이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점이 밝혀졌다. 결과는 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유태현교수 등이 정리했다.

이 연구결과는 신장분야 국제학술지인 Kidney International에 2016년 12월호에 게재됐다.

질본은 한국인 만성콩팥병의 원인질환과 임상적 양상, 합병증 발병 양상, 악화 요인, 사망위험률 등 특성을 파악하고 의과학적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추적조사 연구를 기획했다. 지난 2011년부터 서울대병원(연구책임자: 서울대병원 안규리 교수) 등 17개 연구 참여병원에서 성인 및 소아 만성콩팥병 환자와 신장이식 환자 등 약 4000명을 최장 10년간 추적하는 연구를 시작해 현재 6년간 추적 조사 중에 있다.

우리나라 대도시 30세 이상 인구에서 만성콩팥병 유병률이 13.7%에 달하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만성콩팥병 유병률이 증가한다. 또 2015년말 기준으로 신장기능 소실로 신장이식 또는 투석 등의 치료를 받는 환자는 약 8만7000명으로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미국, 영국, 일본, 호주,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각국의 특성에 맞는 임상진료지침을 갖추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도 현재 진행 중인 만성콩팥병 추적조사 연구를 통해 생산한 기초자료를 근거로 국내 실정에 맞는 임상진료지침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출처=만성콩팥병 예방관리 가이드라인(대한신장학회, 대한소아신장학회, 질병관리본부, 보건복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