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e Papillon, 65×65㎝ Oil & Acrylic on Canvas, 2011

 

천 년 전 청자를 빚는 도공이 현세에 나비로 환생해서 자기 작품을 되돌아본다는 간단한 내러티브로 출발하여, 천 년 전 천민으로 살면서 청자작업에 혼 불태워 오늘날 소중한 유산을 남긴 도공들의 애틋한 삶을 재조명한다는 것이 작품의 주제이다.

Beginning by a simple narrative that a potter making celadon one thousand years ago is mundanely reincarnated in a butterfly so examines own works, the work’s theme is to shed the light on a heartrending life of potters passing down valuable cultural heritage to future generations by putting their heart and soul into a work making celadon as the lowest class of people one thousand years ago.

 

▲ Ø104㎝

 

그 때의 도공들의 힘든 삶을 조금이나마 가까이 다가가고 싶은 마음에 물감을 수십 겹 덧바르고 깎아내어 도자기의 상감기법을 물감으로 재현하였다. 작품에서 항상 등장하는 나비의 역할은 이전의 박제된 나비 형태의 작품에서는 역설적으로 자유에 대한 강렬한 의지를 표현했다면, 근래의 청자 위의 나비가 올려 진 작품에서는 역사의 시간을 넘나드는 매개체 역할로 나비의 상징성이 변화되었다.

Because I wanted to get a little bit closer to potters’ tough life of the time, I reproduced a inlay technique of ceramics through paints by facing and shaving off paints. Butterfly figuring in a work expressed a strong will to freedom paradoxically in a former stuffed butterfly-shaped work, but played a role of medium crossing time of history in the recent work that butterfly is placed over celadon.

 

▲ 27×61㎝

 

리얼한 나비의 묘사와 회화적 상감기법의 청자표현으로 관람자들에게 현실과 비현실의 혼돈을 주는 작품형식은 사실적 재현과 환영 효과로의 유도로 비움과 채움, 현실과 비현실, 허구와 실존의 경계에 대한 작가의 탐구적 자유의지에서 비롯되었다.

Work formality giving an audience chaos of reality and unreality through actual description of a butterfly and description of celadon with pictorial inlay technique is an inducement to realistic reproduction and vision effect, so is derived from the artist’s inquiring free will to the boundary between emptying and filling, reality and unreality, and fiction and existence.

△문수만(洋画家 ムン・スマン, 文水萬)작가 메모 중에서

 

▲ 胡蝶之夢(celadon Butterfly), 121×61×45㎝ Oil & Acrylic on Wood

 

키워드

#권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