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우리나라 수출을 둘러싼 대외 환경이 녹록지 않은 가운데 정부가 이에 대한 활로로 ‘신시장 개척’ 이라는 전략을 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로 열린 '제11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수출시장 다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중국 등 기존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산업부는 이를 위해 인도, 중국, 동남아시아 등 신흥국을 공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인도는 인구 12억5000만명, 구매력 기준 국내총생산(GDP) 세계 3위의 거대시장이다.

또 6개 아랍 산유국이 모인 걸프협력회의(GCC)는 1인당 GDP 3만3000달러의 높은 소득 수준을 지니고 있다.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도 연평균 5%의 경제성장률을 보여주고 있다.

선진 시장에서의 전략도 고도화된다. EU에서는 수입 수요가 증가하는 자유무역협정(FTA) 수혜품목과 고급 소비재 수출을 주로 한다. 일본에서는 실버상품·화장품 등 현지 수요가 높은 제품과 자동차부품·건설 기자재·사물인터넷(IoT)·핀테크 등 유망분야 수출을 확대한다.

정부는 또 126개 재외공관·무역관 공동 '현지대응반'을 가동한다. 이를 통해 수입규제, 비관세장벽 등과 관련한 기업 애로를 발굴하고 신속한 해결을 지원할 방침이다.

철강·석유화학 등 업종에서는 대응반을 상시 운영하고 무역협회 내 '수입규제 대응센터'를 확대·개편해 개별업체를 지원한다.

코트라(KOTRA) 등 8개 기관의 18개 지원사업을 통해 올해 내수기업 6000개를 수출기업으로 전환한다. 향후 5년 내 3만5000개를 수출기업으로 육성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