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산 100만달러 이상의 백만장자들이 가장 이주하고 싶어 하는 국가 1위는 호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자산 조사업체 ‘뉴월드웰스’(New World Wealth)에 따르면 지난해 약 1만 1000명의 전세계 백만장자들이 호주로 이주했다고 CNN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전년도의 8000명보다 3000명 늘어난 수치다.

전통적으로 미국과 영국이 부자들의 이민 선호 지역으로 꼽혀왔지만, 최근 몇 년 새 호주가 급부상했다. 특히 중국과 인도의 부자들이 호주로 몰려들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호주의 양질의 의료서비스와 생활 및 자녀 양육에 상대적으로 안전한 곳이라는 인식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지리적으로 정정불안이 심한 중동이나 난민 위기를 겪는 유럽과 동떨어져 있는 점도 부자들의 호주행에 한몫하고 있다. 아울러 호주는 중국 한국 싱가포르 인도 등 신흥 아시아 국가에서 사업을 전개하기 위한 거점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부자들의 이민 선호국 2위는 미국. 미국은 지난해 1만명의 해외 백만장자들을 끌어들였다.
뉴월드웰스의 앤드류 아모일스 수석 연구원은 “미국의 새로운 리더십이 부자 유입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며 “올해 미국으로의 부자들 순 유입은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3위는 캐나다로, 8000명의 백만장자들이 신규 유입됐다. 중국인들은 캐나다 남서부 밴쿠버를 선호한 반면, 유럽인들은 주로 동남부 토론토와 몬트리올을 좋아했다.

반면 부자들의 ‘엑소더스’(대탈출)를 겪고 있는 나라는 프랑스. 지난 해에만 1만 2000명의 백만장자가 프랑스를 떠나면서 지난 2000년 이후 이 나라의 백만 장자 순유출 규모는 총 6만명에 달했다. 이는 프랑스 내의 종교적인 갈등과 경기 침체, 테러 공격 등의 여러 요인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뉴월드웰스 관계자는 “범죄와 세금, 재정적인 문제들로 인해 백만장자들이 자신의 나라를 떠나고 있다”면서 “백만장자들의 이탈은 통화와 주식 및 부동산 등 금융시장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유럽]
■ 英 연구팀 "2030년 한국 여성 기대수명 90.82세, 90세 벽 최초 넘어"

- 영국 임페리얼컬리지 런던연구팀은 21일(현지시간) 의학전문지 랜싯에 발표한 논문에서 "최소 한 개 그룹이 기대 수명 90세 장벽을 넘게 됐다"며 한국 여성을 지목.

- 이 연구팀은 오는 2030년 한국 여성이 기대수명이 90.82세, 한국 남성은 84.07세로 세계최고 수준이 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

- 한국 여성의 기대 수명은 2010년 기준 84.23세, 남성은 77.11세였다고.

- 연구팀은 기대수명 증가에 있어서 "한국이 엄청난 성공을 이뤘다"고 평가. 그 비결로 아동 영양, 교육, 기술에 대한 투자, 저혈압, 낮은 흡연율, 보건 시스템 등을 들어.

- 다음으로 스페인 여성의 기대수명이 88.07세, 포르투갈 여성 87.52세, 슬로베니아 여성 87.42세, 스위스 여성 87.70세로 전망.

[미국]
■ 뉴욕 증시, 21일(현지시간) 3대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하며 상승 마감

- 미국 뉴욕 증시의 3대 지수가 21일(현지시간)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마감.

-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따르면 이날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18.95포인트(0.58%) 상승한 2만 743으로 거래를 마쳐. 다우지수는 8거래일 연속 상승기록을 이어가고 있어.

-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역시 14.22포인트(0.60%) 오른 2365.38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도 27.37포인트(0.47%) 상승한 5865.95로 마감.

- 홈디포와 월마트 등 소매업체들의 실적 호조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출발한 뉴욕증시는 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하는 은행주, 국제 유가 상승에 힘입은 에너지 관련주 강세 등으로 장중 계속해서 상승세를 이어가.

- 블룸버그는 "유로존의 성장률 전망이 호전되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경제정책에도 낙관론이 대두한 결과"라고 분석.

[글로벌]
■ 세계은행, "정책 불확실성이 무역 성장 저해"

- 세계은행은 21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공개한 보고서에서 보호주의의 고조, 무역협정 파기 위협 등이 글로벌 경제성장의 중요한 엔진인 무역을 저해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시.

- 세계은행 이코노미스트 미셸 루타 등 보고서 저자들은, 지난 해 세계 무역 성장률이 1.9~2.5% (잠정치)을 기록한 것으로 보이나 실질적으로는 1% 성장하는데 그칠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이후 최저치라고 지적. 2015년 성장률은 2%, 2014년은 2.7%.

- 보고서는 특히 2015~2016년 간 무역 성장률이 이전에 비해 0.8% 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추정하면서, 이중 0.6%는 각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기여했다고 분석. 또 "정책 불확실성이 계속 높으면, (글로벌) 무역 성장률도 계속 저하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

- 지난 1995년부터 2014년까지 세계무역은 연평균 6.53% 성장했지만, 중국 등 새로운 국가들이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하고 새로운 무역협정을 체결하지 않았다면, 이 기간동안 세계무역 성장률은 4.76%에 머물렀을 것으로 추정하면서, 자유무역 확대가 세계무역 성장에 최소 1.77%포인트는 기여했다고 분석.

- 보고서는 또 다자주의를 거부하면 정치적으로는 보상을 받을 수 있을지는 몰라도 경제비용이 높아질 것으로 경고. "기존 무역협정을 철회하기보다는 무역협정을 유지, 확대하는 것이 생산력 증가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강조.

■ 세계 광산산업 기록적 흑자에도 전망은 암흑

- 월스트리트 저널은 21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광산업체 BHP 빌리턴을 비롯한 주요 광산업체들이 모처럼 흑자를 기록했다고 보도. BHP는 이날 지난해 하반기 32억달러 순익을 기록했다고 발표. 전년동기 57억달러 적자에서 기록적인 흑자 전환을 달성한 것.

- 2015년 56억달러 적자를 봤던 세계 5위 광산업체 앵글로 아메리칸도 이날 지난해 16억달러 순익을 기록했다고 밝혀. 앞서 리오 틴토 역시 2주전 실적 발표에서 지난해 46억달러 흑자를 기록해 전년의 8억6600만달러 손실을 만회했다고 밝힌 바 있어. 23일 실적발표가 예정된 스위스 광산업체 글렌코어 역시 지난해에는 흑자 전환에 성공했을 것으로 예상.

- 이와 같은 예상 밖 흑자전환은 중국의 정책전환 덕택이라고. 지난해 중국 정부가 광산의 생산 감축에 나서는 한편 경기부양에 나서면서 수요가 늘어 석탄, 철광석 가격이 뒨 것이 주 원인.

- 하지만 이같은 광물 가격 오름세가 이어질지는 장담할 수 없다고. 전문가들은 중국의 수요가 계속 증가할 것인지 보장이 없는데다 트럼프 행정부가 몰고오고 있는 무역전쟁 먹구름이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

- 불확실한 전망때문에 광산업체들은 막대한 순익을 신규 개발 프로젝트에 투입하는 대신 자사주 매입이나 배당으로 돌리고 있다고. 다만 트럼프가 대선공약으로 내건 1조 달러 인프라 확대 계획에 대한 기대감이 유일한 희망이라고.

 

▲ 출처= noticias.uol.com.br

[남미]
■ '파산위기' 브라질 리우의 상하수도 민영화 곳곳서 '걸림돌' 

- 재정난을 겪고 있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주(州)의회가 추진 중인 '상하수도 시설(세다이·Cedae) 민영화' 안건이 시민들의 반대 시위에 이어 주도인 리우데자네이루市까지 반기를 들어 위기에 처해.

- 리우데자네이루市는 주에서 가장 많은 물을 소비하는 곳으로, 민영화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세다이는 가장 큰 수입원 중 하나를 잃게 돼.

- 현지 언론 EBC에 따르면 리우데자네이루市의 마르셀루 크리벨라 시장은 21일(현지시간) 기자 회견에서 "시 의회가 세다이 민영화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시는) 자체 상하수도 기업을 설립할 것"이라고 밝혀.

- 직원 수 5940여명의 세다이는 브라질 내 64개 도시, 1200만명에게 물을 공급하는 기업. 리우데자네이루주는 올림픽 개최 이후 사실상 파산 위기에 놓이자 긴축 정책의 일환으로 이번 민영화를 추진해와.

- 세다이 민영화에 따라 주정부는 연방정부로부터 35억레알(약 1조 3000억원)을 우선 지원 받게 되는데, 이는 주정부 재정 긴축안을 시행하는 대가로 3년 동안 620억레알(약 22조원)을 지원하기로 한 연방 정부 정책에 따른 것.

- 이날 세다이 본사 앞에서는 민영화 반대 시위대와 경찰이 충돌해 시민 18명을 체포. 민영화 반대론자들은 고용 문제와 수도비 인상 가능성 등을 반대 이유로 들고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