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월 10일, 미국에서 미국과 일본의 정상회담이 열린다. 이 때 트럼프 정부가 '환율조항'을 다시 언급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달러 강세와 엔저 유도 현상을 막기 위한 것으로 일본 정부가 꾸준히 지속해 왔던 '엔저 정책'에 반하는 정책이다. 일본 정부는 이에 대해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일본 언론들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다자간 협정인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이 아닌 미일간 양자간 통상 협정 협상을 제시할 것으로 전망했다. 양자간 협정 제시안에는 엔저와 달러고 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환율조항이 포함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만약 트럼프 대통령이 환율조항을 강하게 밀어붙일 경우 일본 정부의 선택지는 그리 많지 않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TPP 협상 당시 미국에서는 양국의 환율 변동을 제한하는 환율조항을 포함시키자고 했지만, 일본에서는 반대한 바 있다. 

스가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양자간 협정에 대해서는 "TPP와 비슷하게 협의할 것"이라며 통화 정책 제한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아베 신조 총리 역시 지난 28일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 회담 이후 기자회견에서 "TPP에 관한 내용은 언급되지 않았다"며 "미일 동맹의 중요성을 확인했고 경제는 대립을 피하고 협력 가능한 분야부터 이야기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케이 뉴스는 환율조항에 대해 일본 정부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일본의 대응 수단은 적다고 지적했다. 

닛케이신문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일본 정부가 '고용'과 '중국' 카드를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역시 선택지가 많지 않다고 분석하고 있기 때문이다. 

닛케이는 미 상무부를 인용 "미국 제조업에서 일본 기업이 40만명에 가까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며 한 정부 관계자가 "트럼프가 이를 안다면 일본에 대한 입장을 바꿀지도 모른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 중국에 대해 양국이 어떤 협력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은 중국의 철강 과잉 생산에 대한 것을 문제 삼아왔고 미국 역시 중국으로 인한 무역 적자를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한 경제 부처 간부는 "자유 무역이 경제 성장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내용을 주장해서는 트럼프의 마음을 열 수 없을 것"이라고 귀뜸했다. 

일본의 대응 방식이 어떤 결과를 만들어낼지 알 수 없지만, 오는 정상회담에서 어떤 내용이 논의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