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트럼프 정부의 성공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는 러스트벨트 실업률은 물론 경기불확실성 지수도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다. 다만, 경기불확실성 지수는 미국 언론의 ‘부정적 단어 사용’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현재 트럼프와 미국 언론 간 화해의 제스처는 찾아볼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에도 이 지수는 상승할 여지가 높다.

▲ 출처:한국투자증권

따라서 경기불확실성지수로만 트럼프 정부를 평가하면 오판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러스트벨트 지수 추이와 경기불확실성 지수를 동시에 비교 관찰할 필요가 있다.

두 지표의 향후 추이는 크게 3가지의 시나리오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경기불확실성 지수와 러스트벨트 실업률이 동시에 올라가는 경우다. 이는 트럼프의 입장에서는 최악이라 할 수 있는 반면, 미국 언론은 큰 힘을 얻는다. 그만큼 트럼프 정부의 무능함을 여실히 드러낸다.

둘째, 경기불확실성지수는 상승하는 반면, 러스트벨트 실업률은 내려가는 경우다. 이는 오히려 미 언론이 역공을 당할 수 있는 상황이 된다. 이미 대선 예측에서 비판을 받은 언론이 트럼프 정부에 대해 무조건 공격적이라는 대중의 질타를 ‘확실히’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트럼프의 힘은 강해지고 언론에 대한 불신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는 점에서 대중의 힘은 한층 강력해진다.

▲ 출처:한국투자증권

셋째, 경기불확실성 지수와 러스트벨트 실업률이 동시에 내려가는 경우다. 이는 트럼프의 승리며 두 번째의 경우보다 언론에 더 큰 치명타를 가할 수 있다. 트럼프 정부를 질타했지만 결국 언론이 틀렸고, 박쥐처럼 어느새 트럼프를 지지한다는 비난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3가지 시나리오 중 두 가지는 트럼프에, 나머지 한 가지는 언론에 유리한 만큼 시나리오 수 기준으로 트럼프가 유리하다. 하지만 문제는 트럼프 정책이 구체적이지 못한 까닭에 러스트벨트 실업률의 향후 전망을 낙관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미 언론이 지속적으로 트럼프 정부에 비난을 퍼부을 경우, ‘트럼프 VS 언론’의 승자는 각각 50대 50의 확률로 팽팽해진다.

하지만 향후 미 언론이 사실만을 보도, 더 나아가 정부의 주장을 심층적으로 검증하고 대중에 알린다면 언론이 궁지에 몰리는 극단적인 상황(세 번째)으로 치닫긴 어렵다. 결국 실질적으로 불리한 것은 언론이 아닌 트럼프다.

트럼프, 최고의 ‘협상자’일까

트럼프와 언론과의 관계를 볼 때, 트럼프 정부는 반드시 미국 경제의 성장을 이끌어 내야 한다. 특히 트럼프의 미국 일자리 창출에 대한 과감한 공략이 그를 대통령으로 만들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문제는 현재 미국의 실업률이 완전 고용수준에 달해 일자리 창출이 예상보다 폭발적이기 어렵다는 점이다. 한편, 트럼프는 고용 회복 및 성장과 관련, 향후 10년간 2500만개의 일자리와 연평균 4% 성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전 오바마 정부에서도 연간 일자리 250만개 창출이 목표였던 만큼 놀랍지 않은 수치다.

▲ 출처:하나금융투자

지난 2008년 위기 이전,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으로 미국내 일자리가 줄었다는 것이 대다수의 연구결과다. 하지만 위기 이후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으로 오히려 미국내 일자리가 늘었다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달러대비 위안화 환율은 전자의 경우 절하, 후자의 경후 절상됐다.

그렇다면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으로 미국의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위안화 강세가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과연 트럼프가 보호무역주의를 제대로 추진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트럼프가 미국의 45대 대통령으로 ‘영광’이라는 타이틀을 얻을 수 있는 길은 오로지 미국의 실물경제회복 뿐이기 때문이다.

트럼프가 선호하는 약달러. 그리고 중국의 대응이 더욱 중요한 시점이다. 미국과 중국이 각각 무역과 자금유출방지를 원한다는 점에서도 합의를 이룰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도돌이표’처럼 트럼프로 돌아온다. 분명 트럼프는 사업부문에서 승부사이자 전략가였다. 그런 그의 전략을 과연 대통령으로서도 실행할 수 있는지 궁금할 따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