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inding Flow, diameter61㎝, Oil & Acrylic on Canvas, 2016

 

문수만의 작품은 정교하긴 하지만 재현이 아니다. 재현으로는 그 같은 다양성과 유희가 가능하지 않다. 확대경으로 보면 촘촘히 그려진 솜털들도 기이한 느낌을 주지만, 다양함의 인상을 주도하는 것은 나비의 날개 부분이다. 그는 특정한 나비를 이미지로 고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나비가 발생하고 변태할 때 행해졌을 과정을 모방한다. 붓질은 모종의 물결을 낳고, 이후 세필이 더해져 나비의 무늬로 결정화된다.

The paintings of Moon Suman are precise but not representative. Representation cannot convey such diversity and amusement shown in his paintings. The fine downy hair you can observe through a magnifying glass gives a strange effect, but it is the butterflies’ wings that are at the center of the diverse look. Instead of being fixated on a particular image of butterflies, he imitates the process through which a butterfly is born and goes through metamorphosis. The brush strokes create certain waves, and, when the fine details are added, the pattern of the butterfly is crystallized.

 

▲ Fractal, diameter140㎝

 

문수만 작가의 작품에서 나비는 환상에 가깝다. 환상이기에 그토록 선명하다. 나비라는 지시대상은 환상의 세계로 진입하기 위한 단초이다. 초창기 작업에서 수집 상자를 떠올리는 하얀 바탕은 균열이 있는 도자기나 부식된 청동 같은 색과 틀로 변화했다. 미세한 균열이나 부식된 금속 같은 표면연출은 인위적 배경 또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자연 같은 면모를 부여한다. 여전한 것은 나비의 특성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형태와 실물 같은 착각을 주는 그림자의 존재다.

In Moon’s paintings, butterflies are more like fantasy. And that is why they are so clear. As a referent, butterflies are a key to entering into the fantasy world. The white background often found in his early works, which reminds us of collection boxes, transformed into pottery with cracks or corroded bronze. The surfaces with fine cracks or corrosion give the artificial background a natural feel. What does not change is the shape that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a butterfly and presence of a shadow, which gives the illusion that the butterfly is real.

 

▲ Finding Flow, diameter70㎝

 

‘陶工’시리즈에서 작가는 공백에 대한 저항(또는 공포)이 있는 관객을 위해 얼룩이나 명도의 변화를 보여주기도 한다. 균열로 가득한 청자색 허공을 보여주는 작품 ‘Filling empty-2’는 만물이 유래하는 어떤 표면을 튕겨서 갖가지 지형을 만들어내는 신적 행위를 떠올린다.

In the ‘陶工, the poter’series, the artist shows changes in stains or brightness, for the audience who may resist (or fear) blank. ‘Filing empty-2’, which reveals a celadon void filled with cracks, reminds us of some divine act to create various shapes of topography by flicking a surface.

 

▲ Finding Flow, diameter61㎝, Oil & Acrylic on Canvas, 2016

 

‘調香’시리즈와 ‘脈’은 중심에서 바깥으로 퍼져 나가는 향기나 소리 같은 힘의 흐름을 보여준다. 그러한 에너지가 물질화되면 작품 속 그것처럼 산과 계곡 같은 모습이 될 것이다. 산과 계곡을 비롯한 ‘모든 단단한 것은 언젠가는 에너지’(미셀 세르)였을 것이다. 그것은 또한 다른 시리즈에서 나타나는 나비의 맥처럼 생명체에도 편재하는 에너지의 그물망이다. 서양화가 문수만의 작품에서 맥은 크랙같은 미세한 방식으로 구현되기도 한다. 온도와 압력의 영향을 받는 미세한 균열은 연결되어 있던 것의 단절을 암시한다.

‘調香, make a perfume’ series and ‘脈, vein’, for which Moon won an award in Japan, shows the flow of force such as with fragrance and sound that dissipates from the center. When these energies become materialized, they would turn into a mountain or valley, just like in his paintings. All solid things such as mountains and valleys must have been a type of energy at one time. It is also a network of energy, like the pulse of butterfly, that is omnipresent in his other series. In Moon’s paintings, such pulse is sometimes realized in fine forms like cracks.

△글=이선영(미술평론가)/Sunyoung Lee(art critic)

 

키워드

#권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