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은 인간에게는 가장 친숙한 동물이다. 인간 삶에 다양하게 기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가축으로 길들여지고 있을망정 결코 순치되지 않는 야성을 유지한다. 그런 야성이야말로 가축으로서의 영역을 극복하는 또 다른 매력이다.

Horses are the most familiar animal species to human beings. Horses make a contribution to human lives in many ways. Despite they, as one of livestock, are domesticated by humans, they hold a wildness that can never be tamed, their yet another attractiveness to make them livestock but something more than just livestock.

 

▲ 72.7×72.7㎝, 2010

 

특히 강인한 체구와 날렵하면서도 유연한 동작 그리고 수려한 자태는 문인 및 화가들에게 예술적인 영감의 대상이 되었다. 말이 인간으로부터 사랑받는 이유는 이외에도 하고많다.

Their strong body, fast and flexible movement, and gracious posture have inspired writers and artists. There are so many more reasons why horses are loved by humans.

 

 

 

장동문(張東文)작가는 지난 십여 년 동안 말을 소재로 작업해왔다. 그러다 보니 어느새 ‘말 그림’이라고 하면 ‘장동문’을 떠올릴 정도가 됐다. 그만큼 말을 소재로 한 그의 작업은 강렬한 이미지로 다가온다. 이는 말의 형태미에 대한 조형적인 해석이 남다르다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그의 조형적인 해석은 말에 대한 새로운 이해방식이라는 점에서 두드러진다.

Horses have been a subject of Jang, Dongmun for the past few decades. Horse painting became a synonym of Jang. His works’ images are as powerful as horses are. This is because his formative interpretation of shape of horses’ beauty is quite novel. This has big implications because it presents a new way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horses.

 

 

 

말의 형태를 기하학적인 이미지로 단순화하거나 왜곡 또는 변형시킴으로써 독특한 형상을 만들어낸다. 말의 외양에 대한 사실적인 형태미를 지양하여 주관적인 해석에 따른 순수한 조형미를 추구해왔다. 따라서 그의 조형적인 해석은 감각적이기보다는 이지적이다. 무엇보다도 기하학적인 구조의 패턴을 통해 말을 전혀 다른 관점으로 해석해 왔다는 점에서 그렇다.

Zhang Dong Moon creates unique image by simplifying horses’ shapes into geometrical image, and distorting, or transforming horses’ shapes. He has pursued pure formative beauty driven by subjective interpretation and avoided realistic formative beauty of horses’ externals. This explains that his formative interpretation is not so much sensuous, but intelligent. This is because, most of all, he has interpreted horses from a whole new perspective by tapping into geometrically-arranged patterns.

 

 

 

말의 형태적인 특징을 면밀히 관찰하고 숙지함으로써 이미지의 변주가 자유롭다. 비록 형태를 왜곡 변형시키더라도 비례가 정확하면 납득할 수 있는 조형미를 산출해낼 수 있다. 말의 형태를 해체하여 작은 파편의 집합으로 해석해낸 기존의 비재현적인 작업이 이를 뒷받침한다.

He closely observed and captured horses’ figurative characteristics. This enabled him to distort images of horses. His distorted image, however, is making sense because he used correct proportions. Another compelling tool he used was non-representational works he previously made, which is breaking down horses’ shape and interpreting them as groups comprised of small particles.

 

 

 

이처럼 실재하는 말에서 느끼는 감동과는 전혀 다른, 이지적인 이해방식을 요구하는 분석적인 이미지는 확실히 새롭다. 그런데 어쩐 일인지 최근에는 돌연 기존의 방식과 전혀 다른 사실적인 묘사 중심의 작업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As such, his analytic image is quite novel and it requires intellectual interpretation, quite distant from impressions we feel from a horse’s real image. Recently, he created depiction-oriented works, a major transition from his previous style. △글=신항섭(미술평론가)/Shin, Hangsup(art critic)

 

키워드

#권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