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현대경제연구원

2017년 건설업은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축소로 공공부문 수주가 줄어들고 주거용 건축부문 과잉 공급 해소 지연 등으로 민간부문 수주도 둔화세로 전환될 전망이다.

27일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건설기성액은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다. 반면 건설수주액은 증가세가 둔화되는 모습이다.

건설기성액은 2016년 2/4분기까지 증가세가 확대됐다. 2016년 3/4분기 들어 증가세가 다소 둔화되고 있다. 작년 3/4분기부터 증가세로 전환한 이후 2016년 3/4분기까지 전년동기대비 17.2%까지 증가세 확대를 보였다. 부문별로는 건축부문 기성액 증가율은 2016년 3/4분기까지 전년동기대비 23.9%로 크게 증가했고, 토목부문 기성액도 4.8%로 소폭 상승했다.

건설수주액은 2015년 1/4분기이후 증가세가 둔화된 상태다. 2016년 3/4분기까지 99조700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7% 증가했다. 증가세는 둔화됐지만 수주액은 사상 최대 수준이다. 부문별로는 건축부문 수주액이 2016년 3/4분기까지 전년동기대비 6.0%로 뛴 반면 토목부문 수주액은 –7.7%로 다소 감소했다.

내년에는 SOC 예산 감소, 주거용 건축물의 과잉공급 해소 지연 등으로 공공·민간부문 수주액 모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공·토목부문 수주액은 2017년 정부의 SOC 예산 감소로 전년대비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2017년 SOC 예산은 전년대비 8.2% 감소한 21.8조 원으로 책정됐다. 2015년 이후 민간 부문의 대규모 토목수주 증가와 공기업의 부채 문제 부각 등으로 인해 민간 부문과 공기업의 토목공사 발주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경기 활성화 등을 위해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SOC예산이 소폭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공공․토목부문 수주액 급감이 다소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민간·건축부문 수주액도 주거용 건축부문의 과잉 공급 해소 지연 등으로 둔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국내 경제성장률 정체, 정부 규제 강화 등의 원인으로 주택시장 수요가 위축될 것이란 분석이다. 올해 크게 증가한 주거용 건축부문 과잉공급 물량의 해소가 지연되면서 2017년 민간·건축부문 수주액은 둔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점쳐진다.

주택시장 수요 위축 및 지역 간 경기 격차 확대, 해외시장의 사업기회 확대 등이 내년도 주요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가계부채 문제 심화 등으로 부동산시장 관련 정부규제가 강화되면서 주택시장 수요가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경제연구원 '국내 가계부채 증가의 원인 및 전망'을 보면 2017년 말 가계부채는 150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견된다. 금융당국은 소득심사 강화, 분할상환비중 확대 등 가계부채의 질적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양적 증가를 억제하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 출처=현대경제연구원

향후 국내 경제성장률 둔화, 주택가격 하락 등이 발생하면 가계부채 부실화의 가능성도 있다. 정부는 LTV, DTI 등 가계부채의 양적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정책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주택시장의 수요와 건설경기 위축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이유다.

지역 간 건설경기 격차는 부동산 경기의 후퇴기 진입과 산업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현대경제연구원 '최근 부동산 시장 현황과 향후 전망'은 수도권 부동산 시장은 호황기에 있는 반면 지방부동산 시장은 후퇴기로 진입한 것으로 분석했다.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의 발주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에너지 관련 투자가 증가하면서 해외시장 사업기회 확대가 기대된다.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은 아시아태평양 저개발국가의 인프라 건설을 위한 프로젝트 발주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저유가로 크게 위축됐던 에너지 관련 투자도 유가의 점진적 회복과 생산 물량 유지 등을 위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과 에너지 관련 투자 증가는 2014년 이후 크게 줄어든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수주의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며 "해외건설수주는 2014년 약 660억달러에서 2015년 461억달러로 감소했다. 2016년에는 326억달러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