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각 그리고 나, 90×99×135㎝, 석고조각에 장지 꼴라쥬 채색, 2016

 

여주와 군포에 자리 잡은 김경원의 작업장을 둘러본 다음 날 저녁 식탁. 휴대폰으로 찍어온 작품 사진들을 보여주고 나서 소감을 물었더니 아들이 의외의 한 마디를 던졌다. “예술작품이란 머리가 아니라 가슴으로 감상하는 거라면서요?”

문학이나 예술과 거리가 한참이나 먼 녀석의 말에 나는 뒤통수를 한방 얻어맞은 기분이 들었다. 아버지는 지나치게 논리적으로만 작품을 해석하려고 드는 게 아니겠어요? 그렇게 빗대어 비판하는 말로 내 귀에는 들렸기 때문이다. 한편 취미로 그림을 그리는 딸의 말은 약간 위안이 되었다. “이 작품들은 뭔가 푸근한 느낌을 주네요.”

At the dinner table after my visit to Kim's studios in Yeoju and Gunpo, my son made a comment, quite an unexpected one, as I showed him her works' photos on my cell phone. "They say art works should be appreciated with one's heart, not with one's head. Isn't it right?"

I felt as if I got slapped in the cheek, hearing this comment from a young man who knows almost nothing about literature or art. It sounded criticizing me indirectly because he seemed to tell me that I tend to analyze a work of art too much logically. Meanwhile, the words of my daughter who draws paintings as a hobby comforted me a little bit. "These works give me somewhat warm and comforting feelings.“

 

▲ 생각에 잠긴 심퉁이(목업) 13.7×15.5×29.5㎝ 테라코타, 2016

 

그렇다. 김경원 작가 작품들은, 그 규모나 색채에 구애받을 필요도 없이, 그저 문외한의 위치에서, 무심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나에게 왠지 푸근한 느낌, 친근한 느낌을 주었다. 한 마디로 짙은 친밀감을 풍기는 작품들인 것이다. 그 원천은 무엇일까 하고 곰곰 생각해 보았다.

That's right. The works of Kim Gyungwon made me feel some kind of warmth and closeness when I was looking at them from an outsider's indifferent viewpoint, not at all considering their sizes or colors. In a word, they are the works that radiate the feeling of strong familiarity. I pondered about the source of their familiarity.

수십 년 살아온 신림동 우리 집의 마당은 손바닥만 하다. 거기 한 구석에 커다란 항아리가 하나 처박혀 있다. 뚜껑이 없을 뿐만 아니라 오랜 세월의 비바람에 시달려 퇴색도 하고 주둥이의 원형이 고르지도 않다. 장독의 기능을 상실한 지 오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저 무심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으면 왠지 모르게 푸근한 느낌, 친근한 느낌이 가슴속에서 잔잔한 파문을 일으킨다. 그것은 바로 항아리 안에 이 땅의 서민들의 삶이 녹아 있는가 하면, 그 불룩한 곡선과 곡면은 알게 모르게 우리들 자신의 정서와 미의식을 대변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The front yard of my house in Sillim-dong, Seoul, where my family has been living for a few decades, is just a tiny plot. A jar is sitting at one of its corners. The jar has no lid, its surface discolored by the wind and rain through the years, and the original rim of its mouth broken in parts. It has been long since it lost its proper function as a crock of soy sauce.

Nevertheless, when I look at it casually, warm and familiar feelings somehow serenely raise their small waves in my heart. Perhaps it is because the living itself of common people of our land is contained in the jar, and its curved surface and lines represent, knowingly or unknowingly, our sentiments and aesthetic senses. Perhaps, isn't it?

 

▲ 꽃처럼 한 철만 사랑하시렵니까? 10.9×5×19.6㎝ 테라코타, 2008

 

김경원의 작품들을 보고나서 즉시 항아리의 이미지가 내 뇌리에 떠오른 것은 결코 우연한 결과인 것만은 아닐 것이다. 물론 주로 곡선과 곡면으로 구성된 그의 작품들이 함축하고 있는 친밀감이 푸근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뭔지 모르게 애처로운 느낌도 발산한다.

실물보다 엄청나게 큰 머리나 배는 무엇인가 부조리나 불의, 억울한 일에 대한 항거의 함성으로 가득 차서 터질 것만 같아 보이기도 한다. 작품에서 배제되어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는 사지의 말단 부분들이 오히려 상상력을 더욱 세차게 자극하여 강한 메시지를 던지는 듯도 하다.

It was not, I think, just a result of coincidence that an image of a jar crossed my mind as soon as I saw Kim's sculptures. Of course, the familiarity coming from her works, mainly composed of curved lines and surfaces, is not only comforting, but also displays some kind of sorrow.

The unrealistically oversized head or belly seems to be on the brink of bursting, filled with resisting cries against absurdities, injustice and unfairness. The end parts of limbs, removed from the sculptures and invisible to our eyes, seem deliver strong messages as they stimulates rather more fiercely our imagination.

그러니까 이 작가는 무엇인가 할 말이 상당히 많은 것이 아닌가 싶다. 본인으로서는 그런 것을 드러내고 싶지 않았는지도 모른다. 인간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소박하게, 나름대로 정직하게 표현하면 그만이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물론 가수는 목소리로, 시인은 시로 말하듯이, 조각가는 조각 작품으로 말할 뿐이다. 그렇지만 작품이란 작가의 손을 떠나면 독립된 개체가 되고, 그것을 바라보고 감상하는 관객이 작품에서 어쩔 수 없이 배어나오는 이미지나 메시지에 감응하는 것은 또한 별개의 문제다.

Therefore, I assume that this artist is embracing so many things she wishes to express outwardly. Maybe, she didn't want to openly reveal those things herself. Or she might feel that it was enough for her just to express simply and honestly in her own manner the diverse sides of human lives.

Needless to say, sculptors speak through their works, as same as singers do through their voices and poets through their poems. However, once art works leave the hands of the artist, they become separate and independent entities, and it does not matter to the artist whether the appreciating persons sympathize with the images or messages the works exude naturally.

 

▲ 기도, 82×93×127㎝, FRP조각에 도색, 2016

 

그러면 친밀감이란 무엇일까? 감상하는 사람이 작품의 내재적 본질에 정서적으로 동화된다는 뜻이 아닐까? 다시 말하면, 감응이나 공명 과정을 통해서 감동한다는 것이 아닐까? 그렇다. 감동이다. 무심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동안 자기도 모르게 감동을 느끼는 것이다.

나는 김경원의 작품들이 감동을 주는 작품들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완성된 작품들이라고 하는 것은 아니다. 예술의 어느 분야든, 또한 그 어느 예술가든 완성이란 없다. 모든 것은 미완성이다. 우리 각자의 인생 자체도 모두 미완성이다. 그러나 애매모호한 개념이기는 해도 완성을 향해 앞으로 더욱 노력할 필요는 있다. 그러한 노력만이 누구에게나 가치가 있다. 아무도 여기에서 예외가 될 수는 없다고 본다.

Then, what is familiarity? It may mean that an appreciating person becomes emotionally assimilated with the intrinsic essence of an art work. In other words, it may mean that one is deeply moved through sympathy or responding. Yes, it means deep emotion. An appreciating person is unconsciously moved while looking at the works casually.

I dare say that Kim's sculptures are the works that are moving and touching. For all that, I am not saying that they are complete. In any genre of arts, and also in any case of artists, there can be no completion. Everything is incomplete. Each of our lives is also incomplete. Though completion itself is a vague concept, one must put more efforts for it. Only such efforts are valuable to anyone. And nobody can be an exception in this.

△글=이동진(시인, 전직 대사)/Lee Dong-Jin(poet, former ambassador)

 

▲ 조각가 김경원(金炅爰, Kim gyung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