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민주 ‘추풍’ 추미애 당대표 당선

더불어민주당 신임 당 대표에 대구 출신의 추미애 의원이 선출됐습니다. 문재인 전 대표를 둘러싼 계파 논란 속에 추미애 의원은 과반을 획득하며 야당 사상 처음으로 TK 출신으로 선출직 여성 당수에 올랐습니다. 추 후보는 54%, 과반을 획득해 김상곤, 이종걸 후보를 따돌렸습니다. 대의원 현장투표와 권리당원 ARS는 물론 일반당원과 국민 여론조사에서도 압도적인 지지세를 보였습니다. 추 신임대표는 당 대표 수락연설에서 첫 일성으로 분열 극복과 정권 교체를 위한 통합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야당의 패배주의와 낡은 정치 극복을 핵심 과제로 꼽기도 했습니다.

 

◆ 전두환 처남도 50일 노역에 벌금 2억원 탕감 '황제노역’

전두환 전 대통령의 차남 전재용씨가 벌금 미납으로 원주교도소에서 청소노역 중인 가운데 처남인 이창석(65) 씨도 춘천교도소에서 일당 400만 원짜리 '황제노역' 중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28일 법무부와 교정본부에 따르면 원주교도소로 이감된 전 씨와 같은 시기 이 씨도 춘천교도소로 이감됐습니다. 이 씨는 작업장에서 전열 기구를 생산하는 노역을 평일에 하루 7∼8시간씩하고 있습니다. 전 씨는 벌금 38억6천만 원, 이 씨는 34억2천90만 원의 벌금을 미납했습니다. 일당 400만 원짜리 노역에 처한 전 씨와 이 씨는 현재까지 불과 50일간의 노역만으로 이미 2억 원의 벌금을 탕감받았습니다.

 

◆ 카드포인트 소멸액, 지난해 1330억

2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가 기한 내 쓰지 않아 소멸된 카드 포인트 액수가 133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연도별로 보면 2011년 1023억원에서 2012년 1305억원으로 증가한 뒤 2013년 1399억원, 2014년 1352억원 등으로 1300억원대였습니다. 신용카드 포인트는 카드 사용액과 사용처 등에 따라 일정액이 쌓이는데 보통 1포인트 당 1원의 가치를 갖고 포인트는 제휴 가맹점과 쇼핑몰을 비롯해 세금과 공과금 납부 등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효기간이 있어 무기한인 롯데카드를 제외한 나머지 카드사는 5년의 소멸시효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 대우조선해양 사장 연임 로비 혐의 박수환 구속

대우조선해양 남상태 전 사장의 연임 로비 대가로 수십억 원을 받은 혐의로 홍보대행사 대표 박수환이 구속됐습니다. 검찰은 박 씨를 상대로 정관계와 언론계 인사들에게 로비를 벌였는지 수사하고 있습니다. 검찰은 박 씨가 당시 민유성 산업은행장에게 연임을 청탁했는지, 남 전 사장에게 홍보비 명목으로 받은 20억이 누구에게 흘러갔는지를 집중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박 씨는 또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던 금호그룹을 상대로 10억 원을 받은 혐의도 받고 있습니다. 박 씨는 검찰 조사에서 홍보비로 정당하게 받은 돈이라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

 

◆ 불경기 속 1인 가구 '나홀로 쓴다'

28일 통계청 가계동향에 따르면 올해 2분기 1인 가구 평균 소비성향은 77.6%로 지난해 74.3%보다 3.3%포인트 늘었습니다. 평균 소비성향은 가처분소득 대비 소비지출을 말하는데. 평균 소비성향이 77.6%를 기록한 것은 100만원의 가처분 소득이 있으면 77만6000원을 소비로 썼다는 말이 됩니다. 품목별로 보면, 오락·문화가 작년보다 36.6% 늘며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2인 이상 평균소비성향은 70.9%로 작년보다 0.7%포인트 하락했습니다. 2분기 2인 이상 가구 평균소비성향은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3년 이후 최저치입니다.

 

◆ 복지부, 지자체 생리대 지원 “고심 중”

28일 복지부 등에 따르면 현재 저소득층이거나 한부모 혹은 장애인 가정의 여학생들에게 생리대를 무상으로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 중인 지자체는 서울시와 경기 성남시, 전주시, 인천시 부평구 등 10곳으로, 이를 수용할 것인가를 고심 중입니다. 이들 지자체는 사회보장기본법상 '사회보장 신설·변경 협의제도'에 따라 복지부에 협의 요청을 한 뒤 결과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복지부가 수용 결정을 내리면 계획대로 사업을 시행할 수 있지만, 수용불가 혹은 수정·보완 결정을 내리고 지자체가 이에 불복하면 서울시의 '청년수당'처럼 지자체와 중앙정부 사이에 갈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지부가 신중을 기하는 가운데 일부 지자체의 사업에 대해서는 예정된 협의 기간을 넘긴 경우도 나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