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대표 물가지표인 Core PCE와 Core CPI의 간극이 벌어지고 있다. 두 지표의 구성요소가 다르다는 점에서 미국의 정책과 이에 따른 경제상황을 정확히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나금융투자는 26일 ‘미국 경제의 불편한 진실 : #3.서로 다른 물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중립금리를 언급하며 미국 금리인상과 결부된 인플레이션 판단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전했다.

중립금리란 경제가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압력이 없는 잠재성장률 수준을 회복할 수 있는 이론적 금리수준을 말한다. 이는 경기부양 혹은 긴축적 성격의 금리조절과는 다르다.

한마디로 중립금리는 경제적 상황에 따라 달라지므로 미국의 금리인상은 인플레이션과의 연관성이 더욱 높아졌다고 할 수 있으며 ‘적정금리’에 대한 논란도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하나금융투자는 미국 인플레 압력의 점진적 상승을 전망했다. 다만, 미국과 산유국들간의 구조적인 변화로 국제유가 상승세가 크지 않다는 점은 하반기 미국 물가상승폭을 제약할 것으로 판단했다. 그러나 지난 2년간 지속된 국제유가 하락의 역기저가 소멸됐다는 점에 주목했다.

▲ 미국 Core PCE와 Core CPI 추이 [출처:하나금융투자]

최근 미국의 Core 서비스 CPI와 미국 Core 최종재 PPI의 추이를 보면 미국의 물가상승률을 견인하는 것은 서비스 수요이다. 한편, 수입가격까지 포괄하는 GDP디플레이터도 반등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콜롬비아 대학에서 산출한 인플레 선행지수가 플러스(+) 전환을 목전에 두고 있다. 통계적으로 인플레 선행지수 증가율은 GDP디플레이터에 6개월 선행한다.

현재 미 연방준비제도는 Core PCE를 기준으로 물가목표(2%) 달성 여부를 살피고 있다. 눈여겨볼 점은 최근 PCE와 CPI와 간극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두 지표의 차이점을 보면 CPI는 구성요소를 정하고 2년마다 업데이트하는 반면, PCE는 분기별로 지출 구성을 바꾼다. 또 비중을 구성하는 데이터에 차이가 있는데 CPI는 가계 서베이를 기반으로, PCE는 공급자 서베이를 토대로 비중을 구성한다. CPI는 가계 지출을 토대로 비중을 계산하는 반면, PCE는 가계소비와 함께 비영리기관과 정부의 소비를 포함한다.

PCE는 대표적인 정부·비영리기관 소비인 의료비 지출이 커지면서 의료비 비중이 17.1%를 기록한 반면, CPI는 개인이 지출하는 의료비만 해당돼 비중이 8.4%에 불과하다.

한편, 주거비는 CPI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PCE에서는 18.2%이지만 CPI에서는 38.1%를 차지한다. 최근 미국 주택가격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주거비의 비중이 큰 CPI가 PCE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 미국 부동산 가격과 인구성장률 [출처:SK증권]

2008년 전후의 미국 부동산 가격은 1990년대 후반의 인구증감률 곡선과 유사했으나 2012년 이후 두 지표는 그 추이가 달라졌다. 이는 부동산 시장을 위협하는 인구 구조적 문제가 해결되고 있음을 뜻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의 가계부채는 금융위기 이후 정체현상을 보이고 있다.<이코노믹리뷰>는 지난 2월 ‘미 1월 CPI, ‘오바마 케어’ 부동산 시장에 힘 실었나’ 제목의 기사를 통해 ‘오바마 케어’가 미국 은퇴세대들의 부담을 줄여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부양책에 힘을 실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그렇다면 하나금융투자가 지적한 PCE와 CPI의 간극은 향후에도 더 벌어질 확률이 높아진다. 하지만 모기지 수요가 줄어들고 있음은 주택가격 상승을 제한할 수 있는 요인인 반면, 오바마케어 영향으로 PCE가 CPI 상승률을 빠르게 따라 잡을 가능성도 있다.

중요한 것은 간극이 벌어지거나 좁혀진다는 개념이 무조건 물가지표의 ‘상승’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미국 대선에서 도날드 트럼프가 당선되고 오바마 케어 지출이 삭감되면 미국의 의료비는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오바마케어 도입 후 미국 실질 의료비는 4% 감소효과가 있었다.

이는 CPI상승률을 자극할 수 있지만 반대로 PCE상승률에는 제약요인이며 이로 인해 은퇴세대들의 부담이 증가한다면 미국의 부동산 시장도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있다.

PCE와 CPI의 간극은 미국 은퇴세대, 오바마 케어, 그리고 부동산 시장과의 관계를 여실히 드러내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