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일자리, 주거 등 청년문제와 지역경제 침체 문제를 동시에 풀어낼 해법으로 새로운 도시재생모델을 제시했다. 바로 '청년특별시 창조경제 캠퍼스타운'이다.

시는 서울시내 52개 대학가를 중심으로 상생발전을 유도하고 오는 2015년까지 약 1520억 원을 투입, 대학가를 대학과 지역사회를 아우르는 하나의 마을로 재생해 나간다는 계획을 27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현재 서울의 대학에는 65만 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며 연간 졸업생수가 12만 명에 이르지만 현재의 대학가는 특색 없는 유흥가가 전락해버렸다는 진단이다. 

또 '청년특별시 창조경제 캠퍼스타운' 계획의 목표를 ▲창업육성를 중심으로 ▲주거안정화 ▲문화특성화 ▲상권활성화 ▲지역협력이 함께 이뤄지는 1+4로 구성해 대학가를 일자리 중심의 '창조가'로 전환시킨다는 방침이다. 

예컨대, 대학이 소유한 학교 밖 공간에 시가 기반시설 설치와 운영비를 지원해 창업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하고 푸드트럭존, 아침의시장 등을 통해 아침부터 저녁까지 청년이 학교 밖을 나와 지역상권과 만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일자리창출과 지역 활력을 동시에 견인한다는 계획이다.

창업육성 방안으로, 서울시는 청년들이 대학시절부터 창업의 꿈을 키울 수 있는 '챌린지센터(창업지원센터)' 설치를 지원하기로 하고, 대학이 소유한 학교 밖 공간에 대학에서 전문인력을 제공하면 시가 기반시설 설치와 운영비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시는 부서간 칸막이를 없애기 위해 올 하반기 캠퍼스타운 전담 부서를 만들어서 각 부서별로 기존에 시행 중이거나 시행 예정인 다양한 시 정책들을 대학과 지역 특성에 적합하게 매칭, 종합지원하게 된다.

이밖에도, ▴찾아가는 희망 취업박람회 및 취업 멘토스쿨 ▴전통시장 청년상인 육성 ▴중소기업 고용지원 ▴청년공간 무중력지대 운영 같은 서울시 창업육성 정책들이 종합지원된다.

주거안정으로는 대학가 낡은 고시원이나 여관‧모텔을 셰어하우스로 리모델링해 주거약자에게 저렴하게 제공하는 '리모델링형 사회주택', 1인 기업인을 위한 사무·주거 혼합형 임대주택 '도전숙(도전하는 사람들의 숙소)' 등 시의 주거사업을 동원해 청년 주거안정을 돕는다. 또, 대학가 하숙집과 학생‧청년을 연결하는 '대학주거 박람회'도 개최할 예정이다.

대학별 문화와 개성이 살아있는 청년문화거리 조성을 위해 도로변 주차장 일부를 작은 공원(Parklet)으로 바꾸고, 학교 주변에서 이용 가능한 공용자전거, 캠퍼스 관광루트 개발, 예술장터 운영 등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또 다양한 공연과 행사가 열릴 수 있도록 대중교통전용지구 또는 보행자전용거리 도입을 검토하고, 보행환경 개선시 학생과 대학 내 전문가들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반영할 예정이다.

학생들이 캠퍼스 밖을 나와 대학가의 식당, 상점을 이용을 유도하기 위해 대학과 지역상인, 공공이 함께 나선다. 청년장사꾼 육성지원, 학생 할인서비스, 공공 예술공간 조성, 거리예술마켓 등이 지역 내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대학에서는 상권활성화 컨설팅, 상인 아카데미 등을 운영하는 방식이다.

대학의 풍부한 교육자원이 대학 안에서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대학과 지역사회의 협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대학의 지역사회 프로그램을 시가 지원한다. 학교도서관 개방, 학교 부설주차장 야간 개방을 통해 학교의 자산을 주민들과 나누고, 시민대학 등 교육 프로그램도 지원한다. 

고려대 '안암동 창업문화 캠퍼스타운', 2020년까지 우선 조성

▲ 출처=서울시

시는 우선 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안암동 창업문화 캠퍼스타운'은 올 하반기 세부 실행계획 수립에 들어가 2020년까지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4년간 사업비는 100억원으로 잡혔다. 고려대가 소유한 외부공간(안암동5가 51-3 일원)에 대학주도로 앵커시설인 창업지원센터를 건립하고, 빈점포 등을 활용해 소규모 창의공간 등도 마련할 계획이다.

프로그램형은(개소당 6~30억 원, 중복지원 가능) 대학과 지역에 필요한 개별 사업 단위로 추진된다. 보행환경 개선, 청년 임대주택 공급 같이 물리적 개선이 이뤄지는 '하드웨어형'('25년까지 총 20개소)과 청년창업 컨설팅, 지역 공동체 강화 같이 프로그램 중심으로 추진되는 '소프트웨어형'('25년까지 총 30개소)으로 구분된다.

시내 52개 전 대학을 직접 방문해 의견을 수렴한 결과, 88%가 캠퍼스타운 조성 필요성에 공감했으며, 46개 대학에서 거버넌스를 위한 전문가 MP교수를 직접 추천하는 등 대학들의 동참 의지가 높았다고 서울시는 전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청년특별시 창조경제 캠퍼스타운'은 오늘날 서울시가 고민하는 청년실업과 청년일자리 문제, 지역재생과 지역경제의 활성화, 기숙사 문제와 역세권개발 문제 등이 모두 얽혀 있는 융복합적 도시재생사업”이라며 “캠퍼스타운 조성을 통해 지역의 균형 성장에 기여하고, 대학가를 중심으로 하는 서울형 창조경제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