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폐가전제품 방문수거가 78만여대를 돌파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이 사업은 인터넷이나 전화를 통해 폐가전제품 수거를 신청하면 수거기사가 직접 가정을 방문해 수거해 간다. 

시민으로서는 무거운 가전제품을 직접 옮기는 불편을 덜 수 있고 전국적으로는 수십억원에 달하는 배출 스티커 구입비용을 아낄 수 있다. 

환경부와 전국 자치단체에 따르면 지난해 방문수거한 폐가전제품은 모두 78만400여대 달한다. 이는 1만 가구당 32대가량이다. 2013년(16만 2000대), 2014년(35만200대)에 비해 2배 이상 빠르게 늘고 있는 수치다. 

수거실적의 상승은 폐가전 무상 방문수거 서비스의 확대 영향이 크다. 이 제도는 2012년 서울에서 시범적으로 운영되다 2013년 에는 6개 광역 시·도로, 2014년에는 전국적으로 확대됐다.

지난해 지역별 수거실적을 보면 △서울 14만4300여대 △경기 10만3100여대 △경남 9만4000여대 △부산 8만3200여대 △대구 5만3600여대 등의 순으로 많았다.

1만 가구당 수거실적은 제주가 86대로 가장 많았으며 △울산 61대 △경남 58대 △대구 46대 △강원 44대 등이 뒤를 이었다. 또 △경기·인천 19대 △전북·충북 각각 21대 △충남24대 △서울 28대 등은 하위권에 머물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