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산업생산, 소매판매 등의 분야에서 지표가 부진하지만 금융위기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나와 주목된다.

부동산가격의 급등으로 인해 대출의 담보가치가 유지되는데다 지방정부의 부채 문제를 완화시켜줄 수 있다는 분석이다.

홍춘욱 키움증권 연구원은 25일 ‘중국 위기설 재점화?’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부채문제에 대한 우려는 타당하지만 위기로 연결될 ‘촉매’를 발견하기 힘들다”고 주장했다.

홍춘욱 연구원은 우선 중국의 경제지표 악화에 대해 설명했다. 지난 14일 발표된 중국의 4월 산업생산과 고정자산투자, 소매판매는 전년 동기대비 각각 6.0%와 10.5%, 10.1%를 기록했다.

특히 중국 경제지표를 신뢰하지 않는 투자자들이 관심 있게 관찰하는 리커창지수 역시 전월 대비 2.54 포인트 하락해 4.04를 나타냈다.

홍 연구원은 “중국의 경기 둔화를 촉발한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글로벌 교역둔화 및 공급과잉 영향으로 수출/수입이 동반 둔화된 데 있다”며 “특히 중국의 4월 수입증가율이 -10.9%를 기록하며 18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주요 공업국의 수출 부진을 유발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영국 경제지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발간된 기사(Finance in China)를 통해 중국의 부채가 과도하게 부풀어 오른 상황에서 급격한 성장 탄력의 둔화는 중국 경제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하지만 홍 연구원은 “중국의 과도한 부채에 대한 지적은 전적으로 타당하지만, 중국의 부채문제가 심각한 위기로 전이되기 위해서는 부동산시장의 위기가 수반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본적으로 중국 가계자산의 60%는 주택으로 구성돼 있으며, 주택보급률이 90%에 이르고 있기에 주택가격 하락은 금융위기로 이어질 ‘촉매’의 역할을 수행한다.

홍춘욱 연구원은 “중국 부동산시장은 여전히 강하다”며 “중국 주택가격 상승률은 2015년 중반 이후 통화 공급확대 정책를 계기로 반등하기 시작해, 2016년 4월 주택가격 상승률은 16.3%까지 치솟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 부동산가격의 급등은 대출의 담보가치를 유지시켜줄 뿐만 아니라, 토지사용권 판매에 재정을 의지하고 있는 지방정부의 부채 문제(2015년 기준, GDP대비25%)를 완화시켜줄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또 “유례없이 낮은 금리(1년 만기 대출 금리: 2.28%)와 지속적인 가처분 소득의 증가(10년간 연평균 11.4% 상승)를 감안할 때, 중국 부동산시장이 버블이라고 보기는 쉽지 않다”며 “특히 최근 중국 고정자산 증가율이 급격히 둔화되는 과정에서 ‘공급과잉’의 우려도 점차 완화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급박한 위기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홍 연구원은 중국이 과거와 달리 금융권에 대한 위기 대비가 철저하다는 분석도 제기했다.

실제 올 1분기 기준 중국 상업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175%에 이르며, GDP 대비 대손충당금 적립은 15.4%에 육박한다.

홍춘욱 연구원은 “중국의 서비스/내수 위주의 고용증가는 부동산시장에 대한 수요를 확대시킬 것이라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며 “중국의 성장 탄력 둔화에도 불구하고, ‘금융위기’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