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5일 인터넷 발달로 국내총생산(GDP) 통계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있다면서 새 지표 개발을 추진해 한계를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이주열 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시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경제동향간담회를 주재한 자리에서 GDP 통계의 한계점을 언급했다.

이 총재는 “GDP가 일국의 경제 규모와 성장 속도, 물질적 번영의 정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인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근래 품질 차별화가 가능한 서비스업 비중의 증가, 디지털 경제 확대 등으로 그 신뢰성이 점차 하락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최근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의 특집 기사를 인용해 GDP하락 원인을 설명했다. 학원에 가지 않고 유튜브를 통해 무료로 강좌를 들으면 효용성이 높아지지만, GDP는 오히려 감소한다고 설명했다.

또 온라인 쇼핑, 인터넷뱅킹 서비스 등이 소비자의 후생을 증진하지만 이로 인한 시설투자의 감소로 GDP가 하락한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프랑스 정부가 2008년 조지프 스티글리츠 교수를 주축으로 위원회를 구성해 GDP의 대안을 마련하는 작업을 진행한 사실도 언급했다.

이들은 보고서에서 양보다 질적인 개념으로의 전환을 강조하고 경제 성장에 환경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총재는 “인터넷 빅데이터 활용 등을 통해 GDP 통계의 추정방법을 개선하는 한편, 생활 수준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새로인 지표를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GDP 통계가 가진 이러한 한계점들은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 더 커질 것”이라며 “GDP 수치 이면을 잘 읽어내는 역량을 길러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