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orest-Black hole, 91×61㎝, mixed media 2016 ⓒADAGP

 

이렇게 쓰면서 그녀의 작품이 나눠진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일부 작품은 한국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너무 팝 아트적인 요소가 많다. 그러나 지워지지 않는 자작나무를 주제로 한 더 힘 있는 작품들에서는 전통 모더니즘에 가까운 전조가 느껴진다.

In writing these words I became aware of a divide in her work. Some of the paintings appeared too involved with Pop Art from a Korean point of view. However, the stronger paintings related to her theme of indelible birch trees were beginning to emerge in a manner I considered closer to a classical form of Modernism.

이후의 그림들에서는 나무 등걸의 표면이 작품의 표면과 묘하게 융화되는 것이 느껴진다. 모호한 느낌이 작품에 스며들기 시작하면서 좀 더 도발적이고 흥미로워진다고 느껴졌다.

In the latter paintings, the surface of the tree bark began to integrate with the surface of the painting in a curious and confounding manner. A feeling of ambiguity had entered her work, which I believed to be provocative and interesting.

 

▲ 60×60㎝

 

숲 시리즈를 보면서 작품의 표면이 실제 자작나무 등걸처럼 느껴지는 사람도 있으리라. 그러면서 나무 등걸 표면에서 촉감이나 질감으로 느낄 수 있는 자연의 증거가 나무의 “나무스러움”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여길 수도 있다. 이는 어찌 보면 선불교(禪宗)의 사상과 가깝기도 하다.

One may look at the surface of a painting from the Forest series as if it were the birch bark. In doing so, one might consider the feeling and texture of nature’s evidence in the bark as essential to the tree-ness of the tree, which is perhaps close to a Zen Buddhist idea.

류영신의 최근 작품에서 보이는 탁월한 통찰력 중 하나가 바로 화가로서의 선명한 접근법이다. 그녀의 시적인 감성이 숲의 어두운 구석에 닿아 울림을 만들어낸다. 여기서 놀라운 점은 그녀가 닥나무로 만들어진 종이를 캔버스 위에 놓고, 그 표면 위에 그녀가 몇 년 전 탐구했던 유화 물감으로 그림을 그린다는 사실이다.

One of the truly magnificent insights in Ryu Young Shin’s new group of paintings is the clarity of her approach as a painter in which her sense of poetic form echoes the dark shades of the forest glade. Here I am struck by the fact she is using traditional mulberry paper mounted on canvas as the surface support on which she paints with oil, a medium she studied several years ago.

 

▲ 서양화가 류영신(Artist, Ryu-youngshin)

 

다시 한 번 정리하자면, 화가는 나무 등걸에서 채취한 재료로 만들어진 종이 위에 나무 등걸을 그린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그림이 그려진 닥나무 종이 표면은 화가의 나무에 대한 회상, 그리고 화가가 나무에 대한 추억을 되살리며 그리는 나무 그림과도 연결되는 부분이 있다. 기억과 현실이 하나로 연결되는 것이다.

To clarity my point: The artist is painting the bark of the tree on paper that is made from the bark of the tree. Therefore the painted surface on mulberry bark paper is formally consistent with the artist’s reminiscence of the tree that she is in the act of painting. Memory and reality become one.

 

◇글=로버트 C 모건(Robert C. Morgan)

세계적으로 저명한 미술 평론가로서 일상 생활 속에서 글쓰기, 생각하기, 그리기를 멈추지 않으며 뉴욕에서 수업도 가르치고 있다. 1997년 이래 그는 한국에 자주 방문해서 강의한 적이 있다. 그가 쓴 에세이와 책들은 20여개의 언어로 번역되어 출간되고 있다. 짤즈부르그의 유럽예술과학협회원이기도 하다.

Robert C. Morgan is a major international art critic who lives, writes, thinks, paints, and teaches in New York. Since 1997, he has frequently visited and lectured in Korea. He is the author of many books and essays translated into over twenty languages. He is a member of the Europe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in Salzbu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