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단위로 차를 빌려타는 카셰어링(차량 공유) 시장이 뜨고 있다. 효율적으로 자동차를 빌려 탈 수 있다는 장점이 소비자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면서다. 사회적으로 공유경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도 이 같은 분위기 조성에 힘을 보태고 있다.

정부도 동참했다. 2015년 12월 관련 규제를 대폭 완화했다.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법안 개정 이후 카셰어링 회원 수는 기존 약 40만명에서 약 250만명으로 5배 이상 많아졌다. 차를 빌릴 수 있는 서비스존은 1400여개에서 3600여개로 늘었다.

업체들은 분위기를 타고 있다. SK그룹으로부터 590억원의 투자를 받은 ‘쏘카’는 무섭게 세력을 넓히고 있다. 롯데렌터카 소속의 ‘그린카’ 역시 시장 개척에 적극적이다. LG CNS의 자회사 ‘씨티카’는 공유 차량으로 순수 전기차만을 운영,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완벽해 보이는 상황이다. 하지만 걸림돌이 하나 있다. 카셰어링을 직접 이용하는 소비자들이다. 웃지 못할 ‘촌극’이다.

카셰어링은 서비스 특성상 이용자의 ‘매너’가 굉장히 중요한 사업이다. 차를 공유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렌터카와 유사한 형태지만 시간 단위, 혹은 10분 단위로 이용자가 바뀐다는 점이 다르다.

블랙컨슈머들의 ‘만행’은 상상을 초월한다.

차를 더럽게 쓰는 행위는 ‘애교’ 수준이다. 차를 지정된 장소가 아닌 엉뚱한 곳에 반납해 다음 이용자를 애먹이는 경우가 허다하다. 담배를 피우는 것도 모자라 담뱃재를 센터 콘솔에 털어내는 경우가 포착된다. 모텔에서나 나올 법한 쓰레기가 발견되기도 한다. 냄새가 나는 음식물을 일부러 시트 바닥 등에 숨긴 사례도 있다.

우리나라 국민들의 시민 의식을 지적할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고객들에게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고민해야 할 시간을 허비하고 있습니다.” 업계 관계자의 목소리다.

카셰어링이 효율적인 서비스라는 데는 이견을 달기 힘들다. 도로는 좁고 차는 넘치는 세상, 이론적으로도 합리적인 공유경제의 방향성을 지녔다. 카셰어링 태동기인 2011년과 비교해 많은 것이 변했다. 효율적인 관련 법 개선이 이뤄졌고, 기업들은 시장 개척을 위해 힘을 쏟고 있다. 이제 한 가지, 이용자들의 인식 개선만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