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는 예로부터 돌, 바람, 여자가 많아 ‘삼다도(三多島)’라 불렸다. 하지만 그 정의를 새로 내려야 할 것 같다. 최근 제주도에는 돌, 바람, 여자 대신 ‘서울 사람’, ‘주거용 건축물’, ‘부동산 투기세력’들로 붐비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 부동산시장이 후끈 달아올랐다. 신규 분양 단지마다 투자자들이 북적거리고 땅값도 급등세로 돌아섰다. 서울 등 외부지역 거주자들이 꾸준히 제주도로 유입되고 있는데다 지난해 11월 국토교통부의 제주 제2공항 개발 발표는 제주도 내 부동산 투자의 불을 지폈다.

실제 지난해 제주도 인구는 역대 최고인 64만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말 기준 제주도 인구는 외국인을 포함해 64만135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4년 말 62만1550명에 비해 1만9805명(3.1%)이나 늘어난 것으로, 월 평균 1650명씩 증가한 셈이다.

이처럼 외부지역에서 제주도로 유입되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제주도 땅들도 도시 사람들이 ‘싹쓸이’ 중이다. 제주시와 서귀포시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도내 토지 거래 면적 규모는 1억600만㎡에 달했다. 특히 제주시 전체 토지거래 면적 64.3km² 중 서울 거주자가 21.4km²의 토지를 사들였다.

전월세 거래량도 크게 증가했다. 14일 국토교통부의 ‘2015년 전국 주택 전월세 거래량’에 따르면, 제주도는 연간 총 5269건이 거래돼 전년대비 30.9% 이상 증가했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중 세종시(33.5%) 다음으로 높은 증가율이다.

제주도내 주거용 건축물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제주특별자치도청에 따르면, 제주도의 지난해 건축허가는 1만2302동(면적 387만1776㎡)로 지난 2014년 7950동(면적 346만6668㎡) 대비 크게 늘었다.

용도별로는 주거용 건축물이 8179동(면적 198만9927㎡, 2만1344세대)로 전년도 4094동(면적 104만9264㎡, 1만2279세대) 대비 89.6% 증가해 건축경기 상승세를 주도했다. 반면, 상업용 건축물은 2449동(면적 129만4924㎡)으로 전년도 2293동(면적 191만7152㎡) 대비 32.5% 줄었다.

이처럼 도내 주거용 건축허가가 급격히 증가한 원인은 최근 제주도로 유입되는 귀농·귀촌 인구가 크게 증가한 데다 제2공항 등 제주도 부동산의 가격상승을 기대한 투자수요가 급격히 늘어났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제2공항 특수를 비롯해 귀농·귀촌 인구의 증가와 건축경기 활성화, 저금리 시대 부동산 투자가 집중되면서 제주지역이 전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부동산 투자처로 떠올랐다고 분석했다.

▲ 제주도 최근 5년간 건축허가 통계(출처=제주특별자치도)

콘크리트 등 건설자재 공급난 심화…준공 연기 등 피해 속출

최근 제주지역 내 건축 수요가 몰리자 이상신호도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우선 제주 내 부동산 투기 세력이 크게 늘었다. 최근 제주도 부동산투기대책본부에 따르면, 최근 1개월여 동안 10여건 33필지의 불법 의심 사례가 접수됐다

도내 대책본부 관계자는 “최근 제주도 내 투자수요가 늘면서 부동산 투기도 급격히 늘고 있다”며, “도내 임야 매입 후 실제 매입가격보다 적게 써내는 다운계약서 사례 및 아파트 불법 전매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고 전했다.

이 뿐만이 아니다. 제주 지역에 건설 붐이 지속되며 건설자재 공급에도 초비상이 걸렸다. 골재, 콘크리트 등 건설원자재 공급이 최근 도내 건축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면서 제주 곳곳에서 공사 지연 사태가 속출하고 있는 것. 특히 일부 현장의 경우 시공사가 아파트 준공을 미루고, 분양가까지 올리는 사례도 발생해 예비 입주자들의 경제적 피해도 우려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청 관계자는 “지난해 초 골재 부족사태가 빚어진 이후 시멘트 물량 확보까지 어려워지며 콘크리트 공급이 도내 건설 수요를 감당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자재 부족으로 건설사마다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봐도 물량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도내 목조주택 전문시공업체 O대표는 “제주도는 육지와 달리 자재운송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돼 일반적으로 육지에 비해 평균 20%정도 비싸다”며, “최근 넘치는 건축 수요에 비해 건자재 공급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으로, 특히 콘크리트의 경우 한 달 정도 기간이 소요된다”고 전했다.

이처럼 도내 건자재 수급 불균형 문제가 지속될 경우 피해의 형태도 더욱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대한건설협회 제주특별자치도지회 관계자는 “자재 부족으로 건설사마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소규모 업체일수록 피해가 더 크다”며 “자재 공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하면 건설비용이 증가하고, 결국 도민들의 지출도 늘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