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들의 ‘경제적 행복’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은 ‘노후준비 부족’으로 나타났다.

17일 현대경제연구원의 ‘경제주평’에 따르면, 우리 국민들의 ’경제적 행복’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은 ‘노후준비 부족’(28.8%)이었으며, 이어서 ‘자녀양육/교육’(21.9%), ‘일자리부족’(20.2%), ‘주택문제’(19.1%)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2015년 12월 10일부터 18일까지, 전국 20세 이상 성인남녀 807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 형태로 실시됐다.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5%p)

50대 주부·자영업자, “노후 준비 부족해 불행”

 

이번 조사 결과 ‘노후준비 부족’(28.8%)이 가장 큰 장애물이라는 응답은 1년 전(2014년 12월, 24.8%)에 비해 더 많아졌으며, ‘일자리부족’(20.2%)과 ‘주택문제’(19.1%)를 호소하는 응답도 1년 전에 비해 더 많아졌다.

연령대에 따라 응답이 달라졌는데, 20대는 ‘주택문제’와 ‘일자리 부족’, 30대는 ‘주택문제’와 ‘자녀양육/교육’, 40대는 ‘자녀 양육/교육’과 ‘노후준비 부족’, 50세 이상은 ‘노후준비 부족’과 ‘일자리 부족’을 가장 큰 장애물로 꼽았다.

20대는 사회에 진입하는 세대로서 ‘주택문제’(39.1%)와 ‘일자리 부족’(30.9%)이 가장 큰 골칫거리였으며, 30대는 결혼하고 가족을 꾸려가는 연령대이므로 ‘주택 문제’(32.7%)에 가장 민감했으며 다음은 ‘자녀 양육/교육’(22.6%) 순으로 나타났다.

40대는 ‘자녀 양육/교육’(38.7%)이라는 응답이 많았고, 50세 이상은 ‘노후준비 부족’이라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노후준비부족’(28.8%)이 가장 큰 장애물이라고 한 응답자를 연령별로 나눠본 결과, 나이가 많아질수록 응답률이 급격히 올라가는 특성을 보였다.

‘노후준비부족’이라는 응답이 20대는 14.5%, 30대는 19.4%에 불과했으나, 40대는 26.3%, 50대는 35.6%, 60대 이상은 60.2%로 급격히 상승했다.

‘노후준비부족’(28.8%)이라는 응답을 직업별로 나눠본 결과, 자영업자(47.8%)와 주부(43.0%)의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이는 자영업자나 주부가 최근 경기침체에 따라 소득이 감소하고 있어서 ‘노후준비’를 제대로 하기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경제행복지수, 상승 추세 지속

 

반면, 작년 12월 중순에 실시된 ‘경제행복지수’ 조사 결과 44.6(전기대비 +4.2포인트)으로 2007년 이래 상승세를 지속했다. 이는 작년 하반기에 정부가 실시한 개별소비세 인하, 추경 집행 등 소비활성화 대책의 효과로 판단된다.

반면, ‘경제행복 예측지수’는 2010년 12월(제7회 조사) 이후 하향 추세로서, 향후 경제적 행복에 대한 자신감이나 확신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원은 “‘경제행복 예측지수’의 하락 추세는 최근 계속되는 경기침체와 저성장 등 경제 활력의 감소와도 상관이 있다”고 설명했다.

 

 

30대·미혼·여성·전문직 ‘행복’. 50대·이혼/사별·주부 불행

 

한편, 현재 경제적으로 가장 행복한 그룹은 ‘30대’, ‘미혼’, ‘여성’, ‘전문직’ 등으로 조사됐으며, 반대로 가장 불행한 그룹은 ‘50대’, ‘이혼/사별’, ‘주부’ 등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전문직’(57.4점)과 ‘공무원’(53.7점)의 경제행복지수가 높은 편에 속했으며, ‘자영업자’(40.2점)와 ‘주부’(38.8점)는 낮은 편에 속했다.

‘전문직’의 경우 소득도 높고 고용의 안정성도 좋은 편이기에 경제적 행복감이 높게 나타나며, ‘공무원’ 역시 고용의 안정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전문직’과 더불어 경제적 행복감이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계속되는 불경기로 인해 ‘자영업자’의 경제적 행복감이 낮은 수준에 머물렀으며, ‘주부’ 역시 가계의 소득증가는 미미한 상태에서 가계부채 증가, 가처분소득 감소 등의 영향으로 경제적 행복감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타/무직‘의 경우, 다른 직업군에 비해 고용상태 및 소득수준이 가장 열악하기 때문에 행복감도 가장 떨어졌다.

연령별로는 ‘30대’(48.8점)가 가장 높고 ‘50대’(39.4점)가 가장 낮았으며, ‘20대’(48.2점)와 ‘30대’ 등 젊은 층의 경제행복지수가 ‘50대’와 ‘60대 이상’(40.2점) 등 고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편으로 조사됐다.

특히 ‘50대’의 경우 직장에서 은퇴를 했거나 은퇴 직전이며, 자영업에 진입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등 가장 행복감이 떨어지는 세대로 조사됐다.

반면, 20대와 30대는 경제적인 부담이나 책임감이 무겁지 않은 시기이고 아직 희망이 있는 세대로서 행복감이 높게 나타났다.

소득별로는 ‘8000만원 이상’(63.4점)의 고소득으로 갈수록 경제적 행복감이 높아지고 있으며, ‘8000만원 이상’에 속하는 최고소득계층에서 행복지수 상승폭(전기대비 +7.9점)이 상대적으로 컸다.

학력별로는 ‘중졸’(38.4점)의 경제적 행복감이 가장 낮고, ‘대학원졸’(50.4점)의 경제적 행복감이 가장 높게 조사돼 과거의 추세와 비슷했다.

‘중졸’(38.4점)과 ‘고졸’(38.9점)의 경제행복지수 값이 평균(44.6점)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대졸’(46.1점)은 평균보다 약간 높았고, ‘대학원졸’(50.4점)의 경제적 행복감이 가장 높았다. ‘고졸’은 6개월 전에 비해 경제행복지수 값이 하락(-1.5점)했다.

결혼여부별로는 ‘미혼’(46.7점)의 경제행복지수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기혼’(44.1점), 그리고 ‘이혼/사별’(26.8점)이 가장 낮게 조사됐다. 이는 ‘미혼’이 경제적 부담과 책임감이 ‘기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지 않으며, ‘이혼/사별’은 경제적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점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지역별로는 보면, 경기, 대구, 제주, 충남, 대전 등이 상대적으로 다른 시도에 비해 경제행복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경기, 대구, 제주의 경우 상대적으로 주택가격 상승률이 높게 나타났고, 제주의 경우 중국 관광객의 유입이 많았다는 점 등이 지역경제에 긍정적 파급효과를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고령자 위한 공공임대주택 확대, 고용 유연안전성 대책 마련 시급

김동열 현대경제연구원 정책조사실장은 “‘노후준비 부족’이 경제적 행복의 가장 큰 장애물로 파악됨에 따라, 주택을 담보로 한 ‘주택연금’(역모기지) 활성화, 다수의 고령자들이 모여서 함께 생활할 수 있는 밀집형 공공임대아파트 등 노후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특히 50대의 경제행복지수가 가장 낮고 ‘노후준비 부족’이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노동개혁 법안의 원만한 타결과 통과를 통해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 등 고용의 유연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