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이 되면 15세에서 64세까지의 경제인구가 줄어들어 경제성장이 힘들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28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UN은 “선진국의 생산가능 인구(15~64세)가 내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서 2050년이면 지금 수준보다 5% 줄어들 전망”이라며 “인구를 제대로 늘리지 못하면 예전과 같은 경제성장은 요원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UN은 산아제한을 하지 않았던 인도 등에서 출산이 증가해 올해 70억명인 세계 인구가 2050년에는 100억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단순 수치로만 보면 ‘인구 부족’으로 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낮지만, 생산가능 인구에 집중해 보면 사정이 다르다.

2050년까지 일본의 생산가능 인구는 28% 줄어들 전망이고, 한국의 생산가능 인구 감소율도 26%에 이른다. 독일과 이탈리아도 23%씩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경제의 원동력 중 하나인 중국의 생산가능 인구도 21% 하락한다. 생산가능 인구가 전체 인구 증가율을 밑돌면 경제 활력이 크게 떨어진다.

WSJ는 “생산가능 인구가 줄어들면 근로자가 부족해 원활한 기업활동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구매력이 떨어진다”며 “자동차 등 내구재나 주택 관련 산업이 큰 타격을 입는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경우는 출산율 상승과 이민정책 등으로 생산가능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데도 잠재성장률이 3%에서 2%로 떨어졌다. 생산가능 인구가 늘어도 전체 인구에서 생산가능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하락한데 따른 것이다.

아울러 인구 고령화는 연금생활자 증가를 야기해 경제에 부담을 준다. 일본은 현재 인구 10명이 6.4명을 부양하고 있지만 2050년에는 9.5명을 부양해야 한다.

노인 인구가 늘어나면서 건강 관련 산업이 발전하겠지만 지금과 같은 경제성장세를 유지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할 것이란 게 WSJ의 분석이다.

한편 WSJ는 생산가능 인구 확보를 위해 출산률 확대, 이민자 유입정책, 은퇴시점 미루기 등의 대안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