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 G2가 주도하는 태양광 산업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문제는 태양광 산업이 실제로 활성화될 수 있을지 여부다. 그 근거는 사회적으로 환경을 보호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과 태양광 산업의 발전을 뒷받침할 2차전지 산업의 성장을 들 수 있다. 특히 2차전지를 핵심 부품으로 사용하는 전기차의 상용화 및 대중화도 태양광 산업의 발전에 힘을 실을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의 기원과 세계 에너지패권 역사를 되돌아볼 때, 태양광 산업과 2차전지 산업의 시너지효과는 더욱 기대되는 상황이다.

전기차는 지난 1834년 로버트 앤더슨이 최초로 개발했다. 1885년 벤츠가 가솔린 자동차를 만들었으니 전기차는 이보다 오래 전에 먼저 세상 빛을 본 셈이다. 그런데 왜 전기차는 현시대에 각광을 받게 된 것일까. ‘석유왕’ 존 데이비슨 록펠러의 이름은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그는 1878년 4월, 미국 전체 정유능력에 해당하는 연간 360만 배럴의 시장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후 1881년에는 미국에서 생산되는 석유의 95%를 손에 쥐고 있을 만큼 그는 석유에 있어서 절대적인 존재였다.

그만큼 전기차는 그의 사업에서 가장 위협적인 요소였을 것이다. 실제로 1900년대 초반, 미국에서는 가솔린 자동차보다 전기차가 유망해 보였다. 결국 록펠러는 ‘자동차의 왕’ 헨리 포드와 함께 전기차 프로젝트를 봉인해 버렸다.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지만 일각에서는 포드가 록펠러의 회사인 스탠더드오일의 자회사였다고 주장한다. 사실 이 문제는 현시점에서 중요하지 않다. 쟁점은 ‘왜 전기차가 부활했는가’일 것이다.

 

G2의 묘한 동침, 탄소배출량 감축 합의

지난해 11월 미국과 중국은 양자회담을 통해 오는 2025년까지 탄소배출량을 26~28% 감축하기로 합의했다. 세계탄소프로젝트(Global Carbon Project)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중국의 탄소배출량은 99억7700만톤으로 1위를, 미국은 52억3300만톤으로 뒤를 이었다. 탄소배출량 기준 1, 2위를 기록하는 두 국가가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데 합의했다는 사실이 놀라울 따름이다.

과거 1970년대 2차례의 오일쇼크로 어려움을 겪었던 미국은 당시부터 에너지 보안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에너지 패권은 중동으로 몰려 있었고, 에너지 소비가 많은 미국의 입장에서 이는 자국 경제를 언제든 불안하게 만들 수 있는 요인이었다. 그러나 ‘셰일혁명’은 글로벌 에너지 헤게모니를 바꿨고 에너지 패권은 미국으로 향했다. 그렇다고 이런 상황이 미국에게 긍정적인 측면만을 제공한 것은 아니다. ‘셰일혁명’은 미국의 성장은 물론, 일자리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그 여파로 가파른 유가하락은 오히려 미국 에너지 기업들에게도 위협으로 돌아왔다. 이는 미국의 일자리 창출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의미다. 한편 국제유가가 상승할 경우, 미국은 에너지 패권을 주도할 수 없을지 모른다.

그렇다면 미국의 입장에서는 낮은 수준의 유가를 유지하면서도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신재생에너지는 그 대안으로써 자리를 메울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에너지협력센터에 따르면 샌프란시스코 소재의 비영리연구기관인 AEEI(Advanced Energy Economy Institute)는 캘리포니아에서 대체에너지 분야(태양력, 풍력, 대체연료, 전력망 기술)에 근무하는 직원이 지난 2014년 기준 43만2000명인 것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올해 이 분야에 7만개의 일자리가 더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신재생에너지는 ‘셰일혁명’의 뒤를 이을 미국 에너지패권의 새로운 무기가 될 수 있는 셈이다.

 

전기차+태양광, 2차전지와 컬래버레이션… 기업 실적에 집중

현재 신재생에너지산업 중 가장 각광받고 있는 분야는 태양광이며, 이와 함께 주목해서 봐야할 부분은 전기차다. 우선 전기차를 제작하는 데 들어가는 대부분의 비용은 2차전지로 집중된다. 전기는 다른 에너지원과 달리 저장이 어렵기 때문에 전력이 생산됨과 동시에 소비가 이뤄져야 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산업 발전에 치명타가 될 수 있는 요인이다. 즉 2차전지 산업의 발전이 없다면 전기차는 물론 신재생에너지 산업에도 먹구름이 드리우는 셈이다. 결국 전기차와 태양광 산업이 동시에 육성될 수 있는 키(Key)는 2차전지가 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전기차 산업의 발전은 2차전지 산업도 동반성장해야 함을 의미한다는 점에 투자포인트를 두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이들 산업은 미래실적 향상의 기대감이 작용하고 있어 관심을 둬야 하지만 이러한 기대감이 실제 실적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은 경계해야 한다. 국내에서 태양광 산업을 영위하는 대표기업은 OCI와 한화케미칼이며, 2차전지 분야는 삼성SDI와 LG화학이 주도하고 있다. OCI는 특수화학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로 태양광전지 재료와 부품 및 완제품 생산이 주요 사업이며, 태양광 산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폴리실리콘 분야에서 세계 3대 제조업체에 속한다.

 

투자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OCI의 PBR(주당순자산가치비율)은 0.68배를 기록하고 있어 현재 주가는 순가산 가치도 반영하지 못할 만큼 저평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주가가 PBR 1배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이유는 이익모멘텀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OCI의 ROE(자기자본이익률)는 지난 2012년 -2.1%, 2013년 -10.9%, 2014년 -0.7%로 자산가치를 갉아먹고 있는 상황이다. 올해 상반기에는 -0.3%를 기록해 여전히 순이익개선에 대한 기대감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한화케미칼은 한화그룹의 계열사로 연결 대상 종속회사를 통해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 소매업, 부동산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또한 태양광 사업도 영위하고 있는데 이는 전체 매출의 24.4%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한화큐셀, 한화쏠라원 간 합병에 따른 원가절감으로 태양광 분야의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한화케미칼의 PBR은 0.69배를 기록하고 있으며 ROE는 지난 몇 년간 0~1% 사이를 오가고 있지만 마이너스를 기록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수익성 기준 기업건전성은 OCI 대비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두 기업의 사업구조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단순히 이를 비교하는 것은 금물이다. 이 두 기업의 태양광 사업 분야에서 수익성이 개선되는 것이 확인된다면 이는 태양광 산업 발전의 초기단계라 할 수 있다. 아직은 기다림이 필요한 시기이며 실적 개선 확인 후 투자해도 늦지는 않다는 말이다.

 

삼성SDI는 소형전지, 중대형전지, 합성수지 등의 케미칼 사업 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하는 전자재료 사업부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소형전지와 중대형전지는 전체 매출의 54.4%, 6.3%를 차지하고 있어 2차전지 산업 발전과 함께 수익성 또한 기대된다. 하지만 올해 2분기 삼성SDI의 영업손실은 37억원을 기록해 상당히 우려된다. 증권전문가들은 삼성SDI의 실적 부진에 대해 주요 고객사들이 쓰는 2차전지가 각형에서 폴리머로 전환됐다는 점을 꼽고 있다. 특히 폴리머의 경우 각형보다 경쟁 환경이 더 거세다는 점에서 삼성SDI가 향후 과거의 경쟁력을 회복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이에 반해 LG화학은 지난 2분기 영업이익이 5634억원을 기록해 시장 컨센서스를 약 10% 상회했다. LG화학의 주력 사업으로는 석유화학, 정보전자소재, 전지 부문의 사업이 있다. 물론 LG화학의 전지 부문은 426억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하지만 여타 분문에서 이러한 적자를 방어하는 모습을 보여준 것은 LG화학의 제품 라인업이 그만큼 탄탄하다는 뜻이다. 전지 부문에서는 휴대폰, 노트북, 전기차에 쓰이는 2차전지를 생산하고 있으며, 현대·기아차, GM, 르노, 포드, 볼보 등이 LG화학의 전기차 2차전지를 사용하고 있다. 전지 부문에서 긍정적인 측면은 올해 하반기 중국 전기 버스향 매출, 신규 자동차 업체향 매출이 반영되면서 실적 개선 조짐이 보인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