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이 글로벌 ICT 업계의 화두로 부상했지만, 아직 실질적인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대해서는 의문부호가 달린다. 그런 이유로 올해 IFA 2015에서 사물인터넷의 미래를 보여줄 청사진이 등장할 가능성에 상당한 관심이 쏠린 바 있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정체로 말미암아 가전제품이 다시 전면에 등장하며 이를 아우르는 플랫폼에 이목이 집중됐다는 뜻이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올해 IFA 2015에서 실질적인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발견하기에는 어려울 것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사실 IFA 2015 직전만 해도 업계에서는 다양한 사물인터넷 플랫폼이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는 쪽에 무게가 쏠렸다. 삼성전자의 슬립센스가 각광을 받으며 스마트허브 씽스가 연속적으로 베일을 벗는 순간만해도 이러한 예견이 현실로 굳어지는듯 했다.

▲ 홍원표 사장. 출처=삼성전자

그러나 삼성전자를 빼고 제대로 된 사물인터넷을 보여준 곳은 거의 없었다. 대부분 향상된 가전제품의 기능을 강조하는 것에만 방점이 찍혔기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 중 콘트롤 타워에 묶이는 객체의 기능적 성장이 포인트였다는 뜻이다. LG전자가 스마트씽큐 센서로 가능성을 보여줬고, 밀레 등이 업그레이드된 플랫폼 전략을 피력한 수준에 그쳤다.

다만 기어S2를 비롯해 화웨이워치, 모토360 2세대 등이 각광을 받은 지점은 사물인터넷 제품의 기능적 성장이 상당부분 궤도에 올랐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분석이다. 그런 이유로 사물인터넷 플랫폼에 대한 담론은 개방형이냐, 폐쇄형이냐의 선택을 두고 각각의 생태계를 얼마나 성공적으로 구축하느냐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IFA 2015 이후 구글과 애플의 전략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 IT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를 듣고 싶으세요?  [아이티 깡패 페이스북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