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기업은 위대한 혁신을 이루어왔다. 그들은 기하급수적으로 축적한 자신들의 부를 활용하여 전자통신, 컴퓨터 공학, 의료 장비, 교통, 제약 등 수없이 많은 분야의 혁신에 투자하여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었다. 긍정적인 효과다.

그런데 이렇게 해서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만든 효과로 축적된 부자는 어느 정도일까? 『포보스』에 따르면 다양한 채널을 통해 부를 창출한 지구촌의 억만장자는 1987년에 성인 1억 명당 겨우 5명이었는데, 2013년에는 30명이다. 그들은 1987년에 전 세계 민간자산의 0.4퍼센트를 소유했지만, 2013년에는 1.5퍼센트 이상을 소유한다.

▲ 정인호 VC경영연구소 대표

미국의 경우 1976년 상위 1퍼센트가 부의 19.9퍼센트를 소유하고 있었다. 2010년 상위 1퍼센트의 부는 전체의 35.4퍼센트로 늘어났다. 2010년 상위 5퍼센트는 전체 부의 63퍼센트를, 상위 20퍼센트는 88.9퍼센트를 차지했다. 남은 하위 80퍼센트가 가진 부는 전체의 11.1퍼센트에 불과했다. 월마트를 소유한 월튼 일가의 개인 6명이 미국 전체 가구 순자산의 41퍼센트 이상을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은 더욱 놀라게 한다.

그러나 문제는 기업이 부를 걷잡을 수 없이 축적함으로써 발행하는 부정적 효과에 대해서는 제대로 거론되고 있지 않는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부자들에게 돌아가는 몫이 늘어날수록 일반 사람들에게 돌아가는 몫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경제적 가치의 몫뿐만 아니라 인간의 자유로운 삶의 영역도 줄어들게 만든다.

예를 들어 부자들이 해변을 소유하면 일반 사람들은 그 해변을 경험할 기회를 박탈당하게 된다. 왜냐면 일반 사람들은 출입이 금지되기 때문이다. 이는 경험의 상실이다. 비단 해변뿐만 아니다. 부자들은 엄청난 부를 기반으로 공무원에 대해 정치적 로비와 영향력을 행사한다. 또한 매스컴을 소유하고 지배하여 공적 담론에 대한 통제권을 강화한다. 이러한 통제권은 의료, 문화, 정치, 사회, 경제 등으로 확대된다.

한 때 제너럴모터스는 죽음을 초래할 수도 있는 결함이 있는 자동차를 판매한 적이 있었다. 회사 측은 그 위험을 알고도 침묵을 지켰다. 효용보다는 비용을 위해 일반 소비자에게 목숨을 전가한다.

지금까지 기업들의 공헌한 바를 폄하하는 것이 아니다. 문제는 지금부터다.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사적인 부를 견제할 공적 기구가 제대로 된 역할을 못하면 우리나라의 헌법은 부자들 기준으로 개정될 것이다. 결국 부를 가진 소수가 다수를 지배하는 현실이 다가올 수 있다.

내가 부자가 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