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어볼래? 어때? 전에 하던 거랑 맛이 다르지?”

요즘 이웃에 사는 친구 J의 집밥을 먹을 때 자주 듣는 말이다. J는 자신의 레시피를 바꾸고 있다. J의 요리 선생님은 요즘 핫(Hot)하다는 <집밥 백선생>인 백종원 셰프다.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집밥 백선생>의 TV 시청률은 5.7%다. 지상파 1위 예능프로그램의 시청률은 7.7%, 2위는 5.9%이며, 케이블 방송의 접근성이 지상파보다 떨어지는 것을 감안하면 그 인기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다. 검색창에 ‘집’을 입력하는 중에도 <집밥 백선생>이 떴다. ‘집밥’과 ‘백선생’의 조합이 강력한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는 것이다.

이쯤에서 드는 의문 하나. J와 시청자, 그들은 왜 <집밥 백선생>을 따라 할까. 의문을 푸는 과정을 퍼스널 브랜드 디자이너의 시각으로 따라가 본다.

지속적인 움직임-트렌드

사실 집밥이 뜬 것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일본의 가난한 산골마을 아키타현의 아이들은 43년 만에 치러진 일본 초등학교 전국학력평가에서 1등을 했다. 일본에서 화제가 되었던 ‘아키타현의 기적’은 지난 2009년 우리나라에도 소개돼 ‘자기주도학습’과 ‘밥상머리 교육’이란 화두를 제시하기도 했다.

밥상머리 교육은 아이의 밥상과 식생활 점검, 집밥 함께 먹기 캠페인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집밥과 관련된 음식점, 요리책, 방송 프로그램 등 비즈니스와 미디어에도 ‘집밥’ 바람이 불었다. 그 바람은 주방용품 매출에 반영되었고, 쉽게 집밥을 먹으면 좋겠다는 아이디어로 이어져 ‘밥차’, ‘컵밥’이라는 신상품을 만들어냈다. 더 나아가 이제는 소셜 다이닝(Social Dinning)이라는 문화도 등장시켰다. 이처럼 사회 전반에 걸쳐 집밥 같은 브랜드와 연계된 움직임이 확산·지속되는 현상을 트렌드(Trend)라고 부른다.

행동을 지속하게 하는 힘-동기

교육학에서 말하는 ‘Hands on-Minds on’이 있다. 직접 경험하게 하고, 마음을 움직여 동기부여 하라는 것이다. 행동을 지속하게 만드는 힘은 바로 마음에서 나오는 ‘동기’다.

동기의 원동력 중 하나를 욕구충족으로 본다면 매슬로(A.H. Maslow)의 <욕구단계 이론>이 가장 적합하다. 그에 따르면, 욕구의 시작은 먹는 것이나 마실 것의 ‘생리적 욕구’이지만 목적지는 자기충족이나 잠재성 실현 같은 ‘자아실현의 욕구’라고 한다. 집밥 따라 하기의 시작은 맛있는 밥을 만들어 먹고 싶어서, 쉬워 보이니까,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남들도 하니까 ‘나도 한번!’ 이라는 존재욕구가 동기로 작용했을 수 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계속 따라 하게 만드는 동기는 성장 욕구에 있지 않을까. 이루고 싶은 무엇, 바라는 무엇, J와 그들 같은 우리는 무엇을 바라는 것일까.

트렌드를 지속시키는 힘-비전

포털사이트 이지데이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집밥’ 단어에서 느껴지는 감정은 ▲따뜻하다(41.8%) ▲건강하다(27.8%) ▲맛있다(26%) 라고 한다. 사실 온 가족이 둘러앉은 식사 시간은 현대 가족의 생활과는 동떨어진 모습이다. 그렇기에 온 가족이 모인 식사 시간은 ‘함께 하는 따뜻한 나눔’이라는 바람(Desire)을 그린 것이고, 그 바람이 ‘집밥’ 바람(Trend)을 일으키고 있는 것. 바로 동기가 계속되는 이유이며 트렌드의 지속 이유이다. 이 바람은 바로 ‘비전(Vision)’이다.

비전은 미래의 가능성을 뜻한다. 작가 켄 블랜차드는 <비전으로 가슴을 뛰게 하라>에서 ‘비전은 자신이 누구이고, 어디로 가고 있으며, 무엇이 그 여정을 인도할지 아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자신의 비전과 트렌드가 일치할 때, 사회구성원의 비전과 트렌드가 일치할 때, 움직임이 생기고, 비로소 트렌드는 확산되며 지속되는 힘을 갖게 된다.

이렇게 트렌드 안에서 소비자의 비전을 볼 수 있고, 반대로 비전 안에서 트렌드를 예측할 수 있다. 새로운 틈새전략과 콘텐츠를 찾는 사람이라면 비전 안에서 트렌드를 찾아보기를 권한다.

<프로필>

♦퍼스널 브랜드 디자이너

♦KBS <일요아침입니다> 직업 전문 패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