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의 금리 격차가 역전 상황이 연출될지 주목되고 있다.

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20~30bp(1bp=0.01%포인트) 수준에서 움직이던 한국과 미국의 10년 만기 국고채 수익률 격차가 최근 6bp 내외까지 줄었다.

지난 2일(한국시간) 한국 10년만기 국고채 수익률은 연 2.33%, 미국은 연 2.265%로 금리차이(스프레드)는 6.5bp에 불과했다.

한국의 채권금리가 꾸준히 하락추세를 보인 반면에 미국 채권금리는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을 앞두고 오름세를 지속한 결과다.

국내 채권시장 금리는 수급 및 경기 상황, 한국은행 기준금리 조정 등의 영향을 받아 등락하게 된다.

최근 미약한 경기 회복세와 수출 부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으로 인한 국내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한은이 6∼7월께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하락세를 보였다.

그러나 미국은 최근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이 연내 금리 인상 방침을 공개적으로 선언한 데다 독일 국채금리 급등 등의 영향을 받아 금리가 오름세를 나타냈다.

통상 채권 금리는 5∼6개월 전부터 기준금리 조정 방향을 반영해 움직인다.

양국 간 통화정책이 상반된 방향으로 전개될 경우 금리격차가 더 줄거나 역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작년 하반기부터 미국의 해외 채권투자 자금이 회수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미 간 금리 역전은 원화채권 시장에서 미국계 자금의 이탈을 가속화하는 촉매로 작용할 수 있다.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을 앞두고 신흥국 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바로 이런 배경에서다.

상장채권을 기준으로 외국인 투자자가 보유한 원화채권 규모는 지난 4월 말 현재 102조7000억원이다. 이중 미국계 몫이 18조7000억원(18.6%)어치로 가장 많다.

업계 전문가들은 미국계를 포함한 외국계 투자자금이 국내 시장에서 대거 빠져나갈 경우 금융시장이 충격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