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와 다음카카오는 28일 서울 프레스 센터에서 뉴스 서비스 설명회를 열어 언론계가 주도적으로 뉴스평가를 실시하는 방안을 공개적으로 제안했다. 모바일 시대를 맞아 포털이라는 플랫폼으로 뉴스를 소비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자연스럽게 포털과 언론계의 신경전이 벌어지는 상황에서 ‘평가’의 주도권을 언론계에 일임한다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에 양사는 신규 뉴스 제휴 심사를 진행하고, 기존 제휴 언론사 계약해지 여부를 판단하고, 과도한 어뷰징 기사 및 사이비 언론 행위 등에 대한 뉴스평가 기준을 언론계가 만들도록 하며 이를 위한 가칭 공개형 뉴스제휴 평가위원회 제휴심사가 필요하다는 뜻을 밝혔다.

양사는 기자회견을 통해 약 3주전부터 신문협회, 온라인신문협회, 인터넷신문협회, 언론재단, 학계와 폭넓은 교감을 해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기관이 참여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겨둔 상태다. 아직 공개형 뉴스제휴 평가위원회가 미완성이라는 뜻이다.

▲ 조재성 이코노믹리뷰 기자

양사는 왜 언론계가 주도하는 공개형 뉴스제휴 평가위원회를 제안하고 나선 것일까? 일단 포털이 자율적으로 진행해왔던 뉴스제휴 심사기능과 관련하여 공적, 사회적 책임을 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자정노력을 언론계가 직접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한다는 뜻이다.

실제로 현장에서는 일부 매체가 검색제휴 통과 후 악의적 기사를 작성해 광고비를 요구하는 구습이 만연하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들이 포털에 언론사와의 계약해지를 포함한 특단의 대책을 거듭 촉구하고 있기도 한다. 학계에서도 기사반복 재전송, 동일키워드 반복 등 '어뷰징'성 기사가 증가하면서 기사 질이 떨어지고 저널리즘이 죽어가고 있다고 비판하는 상황이다.

현실적인 문제도 있다. 현재 국내 언론계는 인터넷신문사 약 6000개를 포함한 1만8000개 매체가 활동하고 있다. 여기서 약 1000개(중복 매체는 1개로 계산)가 다음카카오 및 네이버와 제휴를 맺고 있으며, 양사가 언론사에 뉴스 정보제공료를 제공하는 제휴 매체는 양사 합쳐 140개(중복 매체는 1개로 계산) 매체로 집계된다.

이런 상황에서 '극소수의 매체들만이 혜택을 보고 있다'는 의견부터 '이미 너무 많은 매체들이 반영되어 있다'는 의견까지 양극단의 평가가 나오고 있는 부분은 분명 양사에 부담이다.

‘뉴스평가 주도권을 쥐고 있어봤자 별로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내부적 판단도 있는 것으 보인다. 최근 양사는 포털 뉴스제휴에 있어 최대한 언론과 거리를 두는 정책을 펼쳐왔다. 다양한 콘텐츠가 넘실거리는 상황에서 기회비용을 따져 차라리 평가 주도권을 언론계에 제공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이득이라는 계산이 섰다는 뜻이다.

하지만 변수도 있다. 일단 준비위원회가 정상적으로 꾸려질 수 있는지가 문제다. 현재 양사는 준비위원회를 구성하기 위해 유관단체에 공문을 보냈지만, 긍정적인 답변을 준 곳도 있지만 판단을 유보한 곳도 있기 때문이다. 준비위원회 참여에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둔 이유를 짐작하게 만드는 지점이다. 일단 양사는 28일 중 유관기관 참여요청 공문을 다시 보낼 것이며 6월에 준비위 구성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준비위원회와 평가위원회가 잡음을 일으킬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는 특혜적 측면에서 상당히 민감한 부분이다. 일단 양사는 준비위원회 구성부터 '큰 문제가 없이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라는 원론적인 입장을 보였다.

언론계에 자정능력 주도권을 부여하는 대목이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기는 격 아닌가'라는 지적에는 시민단체 참여를 비롯한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놨다는 답이 나왔다. 일단 준비위원회가 전권을 행사하고 양사가 이를 수행한다는 큰 기조를 유지하며 다소 방관자적 분위기까지 감지되는 지점이다.

한편 양사는 평가위원회의 구성과 운영방식 등 제반사항을 준비위원회에 일임할 계획이며 이르면 연말부터 네이버와 다음카카오의 뉴스검색제휴와 뉴스제휴 자격심사를 시행할 예정이다. 평가위원회가 실질적인 행동에 돌입하는 것은 약 3달정도 필요할 것으로 봤다. 정부기관이 참여할 것인지는 전적으로 평가위원회의 판단에 맡기며 평가위원회 발족까지 모든 제휴 심사접수는 중단된다. 기존 심사가 진행되는 부분은 계속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