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년간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태양광, 풍력을 중심으로 단기간에 급속한 성장을 보였다. 하지만 아직 세계 속 한국의 현주소는 걸음마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세계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1%도 채 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정부의 장밋빛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정부 주도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반도체 신화와 세계 최고의 조선 강국을 일궈낸 것이 기업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있었던 것처럼 민간 기업이 함께 발맞춰 나가야 한다는 얘기다.

하경용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정책실 부장은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급속한 성장 속에 품질 및 가격에 대한 압박이 커지면서 최소한의 규모의 경제를 맞추지 못하면 도태될 수 있다”며 “각 기업에서 가지고 있는 강점을 최대한 살리고, 약점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선택과 집중을 통한 시장 개척 및 제품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조언했다.

민-관이 협동해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도 확대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에너지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삼성,LG 등 주요 대기업의 신성장동력 확보 전략과 정부의 수출 산업화 전략과 연계한다면 차세대 핵심 태양전지 분야에서 더욱 큰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국내에서 11가지나 되는 신재생에너지원을 모두 개발, 지원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지적도 있다. 맞춤형 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대고 있는 이유다.

작은 내수시장을 가진 우리나라에서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도 시급한 과제다. 하경용 부장은 “대기업이 뛰어들어 대규모 투자를 시작한 현재의 신재생에너지 산업에서 국내 시장은 비좁을 수밖에 없다”며 “다년간 기술 축적으로 이미 밸류체인을 구성한 태양광산업과 대기업 중심으로 구축되고 있는 풍력산업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해외 진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태양광은 부가가치가 높은 상류부문보다는 모듈 및 시공 등 하류부문의 과다 진출로 국내업체간 경쟁 심화와 수익성 악화가 발생하고 있다. 풍력 역시 블레이드, 발전기, 기어박스 등 핵심부품보다 단조부품에 편중되고 있다. 부가가치가 높은 핵심분야의 국산화도 절실한 이유다.

이밖에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R&D 전략 수립과 금융, 세제 지원, 전문인력 양성 등도 신재생에너지 선진국으로 가기 위해 반드시 보안되어야 할 과제로 손꼽히고 있다.

전민정 기자 puri21@asia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