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삼구 회장. 출처= 금호아시아나그룹

금호산업 채권단이 18일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과 단독으로 금호산업 매각 협상을 진행하기로 결의했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이날 의결권 기준으로 52개 채권사의 98%가 박삼구 회장과의 개별 협상에 찬성했다고 밝혔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채권단의 합의에 따라 이해관계자 없는 삼일회계법인과 안진회계법인 2곳을 실사 진행 회계법인으로 선정했다”며 “6월 실사에 착수해 7월경 적정가격이 산정되면 그 금액에 금호산업을 인수 할지 여부를 박삼구 회장에게 제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산업은행은 관련 안건을 부의하고 서면으로 채권단의 동의여부를 물었다. 답신은 지난 15일 취합됐고 주말동안 집계해 18일 발표한 것이다.

같은 날 업계에는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NH농협금융 외에 복수의 유력 재무적투자자(FI)를 우군으로 확보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금호산업 매각 관련 업계 한 관계자는 “박삼구 회장이 백기사로 끌어들인 NH농협 외에 국내외 기업 및 투자자들과 접촉해 복수로부터 지분투자나 인수금융 지원 등에 대한 확약을 얻어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박 회장이 평소 사업상 거래 관계가 있는 국내 유력 기업과 외국계 투자자로부터 지원을 확보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에 대해 금호아시아나그룹 관계자는 “지금으로서는 확인해 줄 수 없다”며 “금호산업을 인수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을 뿐”이라고 답했다.

박산구 회장과 아들인 박세창 금호타이어 부사장은 지난해 말 기준 금호산업 10.7%(346만여주)와 금호타이어 5.2%(824만여주)를 보유하고 있다. 현 시장가치는 각각 630억원과 771억원이다.

그나마 담보로 활용할 수 있는 자산은 채권단에 빚을 갚아 지난해 말 담보가 풀린 금호산업 지분이 유일하다. 금호타이어 보유주식은 아직 담보로 잡혀 있어 활용이 불가능하다.

아시아나항공의 경영권이 걸린 금호산업 매각에 대한 공이 박삼구 회장 손에 쥐어졌지만 협상이 순조롭진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무엇보다 보다 많은 매각대금을 회수하고 싶은 채권단과 주머니 사장이 넉넉하지 않아 적정가격만 지불하고 싶은 박 회장의 생각에 큰 격차가 있기 때문이다.

 

▲ 출처= 아시아나항공

채권단은 지난달 말 단독입찰에 나선 호반건설이 제시한 6007억원을 당일 제안 받자마자 단호하게 거부했다.

아시아나항공의 경영권이 걸린 것에 비해 응찰가가 너무 낮다는 이유에서다. 당시 시장에서는 1조원까지 내다보는 의견이 쏟아지던 참이다.

당시 호반건설은 6007억원이 금호산업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거쳐, 프리미엄 1000억원 이상을 더한 가격이라며 반발한바 있다.

박삼구 회장 역시 채권단 보유 지분 ‘50%+1주’의 가치가 5300억원이면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호반건설이 채권단에 제시했던 주당 3만 907원의 가치를 적용하고도 더 낮은 가격이다.

채권단 내부에서는 최소 7000억~8000억원은 받아야 한다는 의견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채권단 관계자는 “최대주주인 미래에셋맵스자산운용 등 채권단 내부에서는 롯데그룹에 1조원 넘는 가격에 팔린 KT렌탈(구 금호렌터카) 거래를 근거로 국내 2위 국적항공사 아시아나의 대주주(지분율 30%)인 금호산업도 그 정도는 받아야 한다고 목소리가 나온다”고 전했다.

업계에서는 금호산업의 가치가 호반건설이 제시했던 금액 이상으로 재평가되긴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건설업 불황으로 금호산업의 가치가 높지 않은데다 아시아나 지분율(30%)을 확실한 경영권 지분으로 볼 수 없다는 의견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금호아시아나그룹 관계자는 “채권단 실사 후 합리적인 가격이 책정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지난번 호반건설이 제시한 가격을 채권단이 받자마자 거부한 사례로 봐서 금호산업 매각은 사실상 회계실사에 따른 가치평가보다는 경영권 프리미엄 가격에 달린 것으로 보인다.

6월 채권단의 회계실사 후 7월 채권단 가격제시가 이뤄진다. 박삼구 회장은 채권단이 제시한 가격에 대해 8월까지 우선매수권 행사 여부를 통보해야 한다.

박삼구 회장이 채권단이 제시한 가격을 거부할 경우 채권단은 제3자에게 금호산업 매각을 진행하게 된다.

▲ 출처= 산업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