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 채권단이 자본잠식에 빠진 경남기업에 대한 추가지원을 거부해 결국 상장폐지와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밟을 수밖에 없도록 했다. 회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추가 손실을 막겠다는 취지다.

채권기관들은 경남기업의 기업재무구조개선(워크아웃) 과정에서 상당한 충당금을 이미 쌓았지만, 이날 법정관리 신청으로 추가 충당금 적립 부담을 안게 됐다.

앞서 경남기업은 자본잠식에 따른 상장폐지를 막기 위해 채권단에 903억원의 출자전환과 긴급운영자금 1100억원 등 추가 자금지원을 요청했다.

그러나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은 26일 자정까지 채권기관들로부터 추가 지원 동의 여부를 회신받은 결과, 다수의 채권은행이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 가결 요건(채권액 비중 75% 이상)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금융권에 따르면 경남기업의 은행권 익스포저(위험노출 채권액)는 1조원 가까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익스포저는 수출입은행이 521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한은행(1740억원), 산업은행(611억원), 농협(522억원), 수협중앙회(455억원), 국민은행(421억원), 우리은행(356억원). 광주은행(326억원), 기업은행(235억원), 대구은행(23억원) 등의 순으로 많았다.

대다수 채권기관은 워크아웃 진행 과정에서 손실에 대비해 충당금을 높게 쌓아둔 상태다.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은 대출채권 중 90% 이상을 충당금으로 적립해뒀다.

이를 고려하더라도 이날 경남기업의 법정관리 신청으로 추가 충당금 적립 부담이 발생할 전망이다. 채권기관들은 대출채권 대비 80∼100%를 충당금으로 적립해야 한다.

이밖에 다른 채권기관들도 경남기업의 법정관리 신청에 따른 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해 손실에 대비할 예정이다.

앞서 경남기업은 지난 11일 조회공시 요구가 있은 뒤에야 자본잠식 사실을 시장에 공개했다. 현재까지 경남기업에는 2조2000억원에 이르는 자금이 투입됐다. 경남기업이 2013년 10월 세 번째 워크아웃을 신청한 이후 투입된 지원 자금만 총 5800억원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