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를 대표하는 소셜커머스 3인방인 위메프와 쿠팡, 티몬이 아찔한 백척간두에 섰다. 갑질채용 논란으로 곤욕을 치른 위메프는 방문자 수가 크게 줄어들며 성장동력이 약화되고 있으며 쿠팡은 특유의 배송 시스템인 로켓배송을 두고 편법택배 논쟁에 휘말렸다. 시장에 매물로 나온 티켓몬스터, 즉 티몬은 대기업의 인수 가능성이 제기되며 불길한 미래가 점쳐지고 있다.

위메프, 위기의 연속
대한항공 조현아 전 부사장 사태를 계기로 촉발된 갑질논란에 위메프도 휘말렸다. 하루 최장 14시간씩 강도 높은 업무를 소화한 11명의 수습사원을 모두 해고시키며 갑질 채용논란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이후 위메프는 최근 벌어진 일련의 사태가 정당한 법적 절차와 사규를 바탕으로 진행됐다는 점을 강조하며 사과문까지 올렸으나 사과문에 담긴 '달을 가리켰지만 많은 사람이 손을 본다면 그것은 저희 잘못’이라는 문구가 문제가 불거지며 논란은 더욱 심해지고 있다. 심지어 전현직 직원들이 위메프의 갑질에 희생당했다는 증언까지 속속 등장하며 사면초가에 몰렸다. 현재 위메프는 이러한 논란이 사실과 다른 점이 많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 출처=위메프

현 상황에서 위메프를 둘러싼 논란이 뜨겁게 타오르며, 이러한 논란을 진화하기 위한 위메프의 노력이 적극적으로 펼쳐지는 분위기다. 하지만 전반적인 상황은 부정적이다. 당장 위메프 탈퇴 러쉬가 이어지며 사용자 기반이 무너지고 있다는 점이 심각하다. 온라인 트래픽 분석업체인 코리안클릭은 지난 12일부터 18일까지 위메프 순방문자는 236만8525명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주 251만7196명에 비해 6.0% 줄어든 수치다. 반면 같은 기간 경쟁사인 쿠팡은 261만2501명에서 7.2% 증가한 280만1474명, 티켓몬스터는 219만3588명에서 8.7% 늘어난 238만4453명을 기록했다. 갑질채용 논란이 불거지자 '위메프 탈출, 경쟁사 유입'이라는 악순환의 고리가 시작된 셈이다.

업계에서는 위메프를 향한 불매 및 탈퇴 운동이 속도를 낼 경우 경영 실적에 타격을 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실제로 갑질논란은 상당한 휘발성을 가진 현안이다. 이러한 분위기가 외연적 확대를 거듭하며 급속도로 세를 불릴 경우 총체적 위기론이 고개를 들 것이라는 지적이다. 물론 일각에서는 2013년 5월 불거진 남양유업 갑질 사태가 빠르게 진화되며 '심각한 위기'를 극복한 사례가 있는 만큼 위메프 논란도 극단적인 파국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하지만, 위메프는 온라인과 모바일에 기반을 둔 소셜커머스 사업체다. 네티즌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여론의 파급력은 남양유업 사태와 비교할 바가 아니다. 향후 위메프의 위기탈출 로드맵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철균 부사장 영입한 쿠팡, 편법택배 논란은?
국내 소셜커머스 업체 최초로 연간 누적매출 1조 원을 돌파한 쿠팡은 지난해 12월 2조7000억 원에 달하는 기업가치를 인정받은 돌풍의 핵이다. 하지만 승승장구하는 쿠팡에도 위기는 있다. 최근 불거진 편법택배 논란이다.

쿠팡은 현재 소셜커머스 중 유일하게 로켓배송이라는 자체 배송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2012년 자체 물류센터를 구축한 쿠팡은 기존 택배업체와 협력해 당일배송을 시작했으나 그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지난해 3월 직접 상품을 배송하는 로켓배송 인프라를 런칭하며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현재 약 1000여명의 쿠팡맨이 로켓배송 인프라를 책임지고 있으며 쿠팡은 앞으로 이들 중 일부를 매달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 출처=쿠팡

문제는 로켓배송의 정체성을 두고 벌어졌다. 기존 택배업체들은 쿠팡의 로켓배송이 자가 차량을 임의로 운용하는 등 현행법을 피해 사실상 편법으로 운용되고 있다는 입장이다. 로켓배송 자체가 운수사업법을 정면으로 위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쿠팡은 자사가 매입한 제품을 정규직 직원을 통해 배송하고 있기 때문에 불법이 아니라며 맞서고 있다. 쿠팡이 쿠팡맨을 대상으로 매월 정규직화를 시키는 것도 이러한 논란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토교통부는 로켓배송이 택배사업에 해당하는지 면밀히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로켓배송이 기존 택배사업으로 뛰어들 가능성까지 제기되며 쿠팡과 택배업체들과의 신경전을 더욱 가열되고 있다. 로켓배송을 위해 엄청난 투자를 단행한 쿠팡의 입장에서 해당 서비스 자체가 불법으로 결론이 날 경우 치명적인 피해를 입을 전망이다.

▲ 출처=쿠팡

이런 상황에서 김철균 전 청와대 홍보수석실 뉴미디어 비서관이 쿠팡의 부사장으로 선임된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김 전 비서관은 데이콤 천리안, KT 하이텔을 섭렵하며 하나로드림 대표이사 및 다음 커뮤니케이션 부사장 등을 역임한 IT 1세대다. 2008년 광우병 촛불시위를 계기로 인터넷신문과 SNS를 전담하는 뉴미디어 비서관으로 발탁되어 청와대와 인연을 맺었으며 2012년 박근혜 당시 대통령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SNS 본부장을 맡기도 했다.

지난해 1월부터 쿠팡의 고문으로 재직하다 이번에 부사장에 발탁된 김 전 비서관의 등장을 어떻게 봐야 할까? 업계에서는 김 전 비서관이 IT 1세대이자 SNS에 특화된 전문가라는 점을 들어 그가 쿠팡의 홍보 및 대관업무를 중심으로 삼는 한편 로켓배송 논란을 진화할 소방수로 나설 확률이 높다고 전망하고 있다. 로켓배송의 인프라를 지키며 우호적인 여론을 끌어내는 것이 김 전 비서관이 맡을 핵심역할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현 상황에서 쿠팡은 김 전 비서관이 쿠팡에서 어떤 업무를 맡을지 밝히지 않은 상태다.

잠잠한 티몬, 인수전의 간극에 서다
현재 벌어지고 있는 티몬 인수전에서 경쟁사인 위메프는 '초대받지 않은 손님' 논란을 겪으며 조기탈락한 상황이다. 위메프의 탈락을 갑질채용의 여파에서 찾는 분석도 있지만 현 상황에서 더 설득력 있는 시나리오는 티몬의 완강한 거부다. 이후 티몬 인수전은 몇차례 변곡점을 거쳐 LG유플러스와 CJ오쇼핑을 비롯해 몇몇 사모펀드가 전면에 나선 상황이다. 총 5개사가 물망에 오르고 있다.

▲ 출처=티몬

여기서 LG유플러스와 CJ오쇼핑이 티몬 인수를 통해 원하는 것은 온도차이가 있다. LG유플러스는 자사의 페이나우와 결합한 핀테크 인프라에 티몬을 활용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핀테크와 소셜커머스의 시너지 효과에 주목하고 있다는 것이 정설이다. 통신사업과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넘나드는 O2O 사업의 여지도 있다. 반면 홈쇼핑 업체인 CJ오쇼핑은 온라인 및 모바일 영역의 강화를 통해 성장동력이 떨어지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타개하려는 목적이 강하다. 현재 양사는 티몬을 예의주시하며 티몬의 모기업인 그루폰의 경영권 유지 가능성까지 다각도로 고심하고 있다.

문제는 LG유플러스와 CJ오쇼핑으로 대표되는 대기업이 소셜커머스 업체를 인수할 경우 기대했던 만큼의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으냐는 점이다. 이는 지금까지 대기업이 스타트업을 인수하며 거둔 자조한 성적에서 기인하는 비판이다. 실제로 국내 대기업들은 뛰어난 성장 가능성을 가진 스타트업과 협력해 상생의 생태계를 구축하기는 커녕 이를 무작정 '삼켜버려 없애버리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이런 분위기를 의식한 듯 LG유플러스가 티몬 인수에서 발을 뺐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으나 현 상황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KKR을 위시한 사모펀드의 인수도 비슷한 시나리오가 예상된다.

소셜커머스가 아닌, 모바일커머스의 한계
국내 소셜커머스 3인방은 사실 냉정하게 분석하자면, SNS를 이용해 딜을 실시하는 사전적 의미의 소셜커머스보다 모바일커머스로 불러야 한다. 이는 양날의 칼이다. 누구보다 먼저 모바일 시장을 점유해 플랫폼을 구축하는데 성공했으나 기존 소셜커머스의 장점을 온전히 흡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소셜커머스, 아니 모바일커머스 3인방은 만성적자에 시달리며 치킨게임에만 몰두하고 있다.

이는 각자의 위기와 더불어 3인방의 입지를 거세게 흔들고 있다. 오픈마켓을 상회하는 인프라와 영향력을 구축했으나 아직 이들의 성공을 장담하기에 어려운 이유다. 외신과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의 아마존이 되겠다"라는 호언장담이 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한 단순한 감언이설이라는 지적에서 벗어나려면, 결국 지금의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