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를 제2의 인생으로 변화시킨 마법사들을 열심히 찾아서 취재하고 〈이코노믹 리뷰>를 통해 소개하는 것은 다른 사람의 얘기를 통해 아이디어를 얻고 주변에 있는 귀한 기회를 살리도록 돕자는 취지입니다.

하지만 현실로 돌아가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노인 일자리를 찾기도 어려울 뿐더러 일자리의 질이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이 같은 현상을 보여주듯 지난 2009년 정부가 전국 60세 이상 노인 1만5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취업 인구는 35%이며 그나마 농림어업 분야 또는 단순 노무직에 종사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자신이 일생에 한번은 꼭 해보고 싶었던 ‘드림스 컴 트루’(Dreams come true)의 경우는 그만큼 드물다는 얘기겠죠.

그렇다면 보다 현실적인 얘기로 양질의 노인 일자리를 만드는 일에 정부 뿐 아니라 기업, 국민들 모두가 머리를 맞대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각 지방자치단체가 노인일자리발대식을 비롯해 일하는 노인 전국대회 등 각종 행사를 벌이고 있지만 보다 실질적인 방안을 찾아야 할 때입니다.

무상복지 논쟁이 가열될 정도로 재정적자의 심각성이 커지기 때문에 보조금 확대를 통한 지원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저희 동네에는 ‘백련산’이라는 조그만 야산이 있습니다. 능선을 따라 걸어가면 대략 3~4km 정도가 되기 때문에 산보 겸 등산을 하는 주민들이 꽤 많습니다. 등산을 하다보면 지칠 만한 포인트 2곳에 칠순 안팎으로 보이는 할머니들이 좌판을 벌려 커피부터 물, 컵라면을 팔고 계십니다.

커피 한잔을 하면서 들은 얘기는 “그저 하루 반찬값이나 벌려고 나왔는데 불법이라고 단속을 해서 걱정이야.

공원과에서 단속 나와서 벌금 내고나면 일주일치 장사 하나 마나야”라는 푸념이었습니다. 파라솔에 커피포트 등등 노인이 그곳까지 가지고 올라오는 것도 힘들어 보이는데 보이지 않는 장애물이 많다는 얘기죠.

‘구청에서 안전하면서 환경 훼손이 적은 시설물을 만들고 노인들이 운영할 수 있는 일자리를 만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사실 국가적으로 노인 일자리를 만드는 노력을 서둘려야 한다는 점은 일본의 사례를 봐도 타당성이 있습니다. 일본은 지난 2006년 고령자 고용안정법을 개정해 2013년까지 현재 60세인 정년을 65세까지 늦추는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우리 사회에서도 노인 일자리 만들기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펼쳐야 할 때입니다. 정년 연장 뿐 아니라 노인들이 잘 할 수 있는 일을 정해 노인만 취업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방법, 노인들의 창업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 등 다양한 아이디어를 모아보면 어떨까요.

우스갯소리지만 50세 이상 인구가 850만명이나 된다고 합니다. 이분들 한분 한분이 다 투표권을 갖고 있는 유권자라는 것을 감안하면 정치인들도 이 같은 법안 마련에 나서는 것이 선거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아마도 그런 노력 없이 ‘불안한 노후’의 리스크가 커지면 ‘노인당’이 출현할 지도 모를 일입니다.

조영훈 기자 dubbcho@asia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