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코노믹리뷰 DB]


국내에서 만 50세 이상의 중·고령자 가운데 70%가량이 노후 준비를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공단(이사장 전광우) 산하 국민연금연구원은 노후보장패널 3차년도(2009) 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국민노후보장패널은 고령화 사회에서 노후소득보장의 욕구와 중요도를 파악하고 이에 걸맞은 연금 및 고령화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할 목적으로 마련됐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만 50세 이상 8600여 명을 대상으로 2년마다 한번 씩 실시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국민연금연구원은 중·고령자들이 생각하는 노후의 최소생활비와 적정생활비를 알아봤다. 최소생활비는 특별한 질병 등이 없는 건강한 노년에 최저의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의미한다. 적정생활비는 마찬가지로 건강한 노년에 표준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말하며 두 결과 모두 응답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다.

조사 시점인 2009년 우리나라 중·고령자들은 노후에 최소생활비로 혼자 살 경우 최소 76만3000원, 부부의 경우 121만5000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적정생활비로는 혼자 살 경우 112만 원, 부부의 경우 174만6000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지역별로 결과를 살펴보면 서울시는 혼자 살 경우와 부부의 경우 최소생활비가 각각 95만6000원, 140만6000원으로 광역시(77만3000원, 113만6000원)에 비해 높았다. 적정생활비도 서울시가 독신과 부부의 경우 각각 151만6000원, 217만5000원으로 광역시(124만7000원, 177만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조사 결과에서 가장 눈에 띄는 항목은 실제 노후에 필요한 생활비를 축적하고 있는 응답자 비율이 31.8%로 매우 낮았다는 사실이다. 10명 중 7명꼴로 노후 자금 준비에 두 손 놓고 있는 것.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은퇴를 앞둔 베이비부머 세대를 포함해 중·고령자가 노후 자금 준비에 취약하다는 은퇴 전문가들의 지적을 실감케 하는 대목이다.

노후자금을 준비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주된 노후생활비 마련 방법으로 본인 및 배우자의 공적연금(29%)을 꼽았다. 공적연금에는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사립학교교원연금·군인연금 등 특정 직업군을 대상으로 하는 특수직역연금이 들어간다.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이 근로활동(23.7%), 부동산 투자(15.1%), 일반 적금 및 예금(14.8%), 배우자의 소득(7.4%) 순이었다.

노후생활비를 준비하고 있는 응답자 가운데 현재의 대책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52.3%로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이들이 노후생활비를 충분히 준비하지 못한 이유로는 ‘생활비, 교육비 등 더 시급하기 돈 쓸 데가 많기 때문’이 49.3%로 가장 높은 비율을 구성했다. 또 ‘소득이 낮아 노후 준비를 할 여유가 없기 때문’이라는 이유도 45.4%로 비슷한 비율을 나타냈다.

백가혜 기자 lita@asiae.co.kr


키워드

#당당한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