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수출이 날개를 단듯 눈에 띄는 신장세를 보이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28일 지난해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은 7조 9,720억원으로 2012년(7조1,227억원)에 비해 11.9% 증가했고 수출은 12억 8,341만달러로 같은 기간 20.3%나 급증했다고 밝혔다.

화장품 생산실적의 경우 최근 5년간 평균 성장률이 11.4%로 증가세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수출은 2년 연속 20%이상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20%가 넘는 수출 증가와 소폭 감소한 수입이 맞물려 지난해 국내 화장품 무역수지는 처음으로 흑자를 기록한 2012년 8,926만달러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3억 1,145만달러 흑자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화장품 시장규모도 7조6,309억원으로 조사되어 2012년 7조221억원에 비해 8.7% 상승하여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의 주요 특징은 ▲수출 성장세로 무역흑자 지속 ▲중국, 홍콩에 수출 큰 폭 증가 ▲기능성 화장품 생산 비중 증가 등이다.

지난해 국산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출한 나라는 중국(2억8,581만달러)이었으며, 그 뒤로 홍콩(2억6,672만달러), 일본(2억1,785만달러), 미국(9,217만달러), 대만(8,415만달러), 태국(7,264만달러) 등의 순이었다.

특히, 중국의 경우 ‘12년(2억961만달러)에 비해 36.4%나 증가하여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여 순위도 2위(’12년)에서 1위(‘13년)로 올랐고, 홍콩도 3위에서 2위로 올라 이 두 나라에 대한 수출실적 점유율이 43.1%나 되었다.

반면, 일본은 지난해 3위로 조사되어 1위 자리를 내주었으며 ‘13년 수출 상위 10개국에 대한 수출실적이 11억5,392만달러로 전체 수출실적(12억8,341만달러)의 89.9%나 되었다.

지속적인 화장품 수출 증가는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의 발전과 함께 품질향상, 한류 열풍의 영향으로 중국, 홍콩, 대만, 태국 등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기능성화장품의 생산실적은 2조5,638억원으로 전체 생산실적의 32.2%로 조사돼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화장품 중에서는 2개 기능 이상을 갖는 복합기능성 화장품의 생산실적이 1조2,259억원(기능성화장품 중 47.8%)으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주름개선(6,903억원), 자외선차단(3,809억원), 미백 기능(2,667억원)의 순이었다. 각각의 기능성 제품을 사용하는 대신에 복합된 기능을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바쁜 현대인에게 더 각광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화장품 유형별로는 기초 화장용 제품이 4조5,180억원(56.7%)로 가장 많이 생산되었으며, 두발용 제품류(1조2,227억원(15.3%)), 색조화장용(1조1,202억원(14.1%)), 인체세정용(6,070억원(7.6%)) 등이 그 뒤를 따랐다. 기초 화장용 제품 중에서는 로션·크림제의 생산실적이 1조7,038억원(37.7%), 에센스·오일이 9,545억원(21.1%), 수렴·유연·영양 화장수가 7,143억원(15.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2013년에 화장품 생산실적이 있는 제조판매업자수는 총 1,895개소로 생산액이 1,000억 이상인 8개 사의 생산실적은 5조9,040억원으로 전체의 74.1%를 점유했다.

‘아모레퍼시픽’이 3조73억원을 생산하여 37.7%를 차지했으며 그 뒤를 이어 ‘엘지생활건강’이 1조8,114억원(22.7%), ‘에이블씨엔씨’가 4,290억원(5.4%), ‘애터미’ 1,565억원(1.96%), ‘더페이스샵’ 1,546억원(1.94%) 등의 순이었다.

생산실적이 가장 많은 제품은 아모레퍼시픽의 ‘설화수 자음생크림(60ml)’(708억원)이었으며, 그 다음은 ‘설화수 자음유액(125ml)’( 568억원), ‘설화수 자음수(125ml)’(561억원), ‘미샤초보양수액(30ml)’(423억원), ‘리엔 자윤비책 중건성 샴푸’(400ml)(423억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화장품 수입실적은 9억7,196만달러였으며, 수입 상위 10개국으로부터 9억485만달러가 수입되어 전체의 93.1%를 차지했다. 상위 10개국의 순서는 미국(2억8,543만달러), 프랑스(2억5,772만달러), 일본(1억3,453만달러), 이태리, 영국 등이었으며, 상위 3개국의 수입실적이 전체의 69.7%를 차지했다.

식약처는 국내 화장품 수출을 포함한 생산실적이 급증하는 것은 국산 화장품의 안전성과 품질의 우수성을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향후에도, 화장품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제도의 국제 조화 및 합리화 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