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대한상공회의소]
창업한 중소기업들이 중견기업으로 도약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 19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가 2011~2013년 최근 3년 동안 중소기업을 졸업한 초기 중견기업 239곳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졸업기업의 경영실태’를 조사한 결과, 법인 설립 뒤 중소기업 졸업하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평균 19.4년으로 집계됐다.

대한상의 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 졸업기간은 ‘10년 이상~20년 미만’이 30.5%로 가장 많았다. 이어 ‘20년 이상~30년 미만’(26.4%), ‘10년 미만’(25.1%), ‘30년 이상’(18.0%) 순이었다.

내수기업과 수출기업의 졸업기간 비교에서는 수출기업이 평균 2.5년 더 짧았다.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들은 평균 17.8년이 지나면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데 비해 내수 비중이 높은 기업들은 평균 20.3년이 소요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의 자문위원인 최성호 경기대 교수는 “수출기업이 내수기업보다 성장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해외판로 개척이 중요함을 보여준다”며 ”중견기업 성장촉진을 위해 공급망·판로 등을 글로벌화 하는 정책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중소기업에서 벗어난 중견기업의 장단점을 묻는 질문에 ‘단점이 더 많다’는 답변이 절반을 넘은 57.4%를 차지했다. 반면에 ‘장점이 크다’는 9.9%로 단점 지적 응답의 6분의 1 수준에 그쳤고, ‘비슷하다’는 32.7%를 기록했다.

한편, 중견기업 도약 뒤 단점으로 각종 지원책 감소를 기업들은 꼽고 있다. 특히 세제지원 감소(77.0%)에 가장 큰 아쉬움을 드러냈고, 이어 정책자금(12.6%), 인력(4.9%) 등이 줄어든 것도 단점으로 지적했다.

중소기업을 탈피한 중견기업들은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연구개발(R&D) 등 투자를 강화하고 있지만, 실제로 신수종 사업을 확보한 기업은 32%에 머물렀다.

또한 내수와 수출 비중을 묻는 질문에도 ‘내수 비중이 높다’(68.6%)는 응답이 수출비중이 높다(14.6%) 보다 4배 이상 많았다.

대한상의는 “중소기업을 갓 졸업한 중견기업들은 (해외시장 개척 등) 큰 위험을 감수해 높은 성장성을 도모하기 보다는 내실을 다지려는 경향이 짙다”며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진입한 기업들의 성장동력이 꺼지지 않도록 R&D 투자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하고, 정부는 기업활동에 걸림돌이 되는 사항들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한상의가 조사대상 239개 중견기업의 감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중소기업 졸업 전후 매출액 증가율과 고용 증가율이 다소 차이를 보였다.

졸업 직전 3년 평균 16.2%였던 매출액 증가율은 졸업 후 1~3년 평균 2.7%로 하락했다. 이는 같은 기간 국내 기업의 매출액 증가율이 변동하는 추세와 비슷한 양상을 보여 경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대한상의는 풀이했다.

반면에 고용증가율은 졸업 전 7.1%에서 졸업 후 평균 6.2%로 경기 영향에도 증가세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중견기업은 우리나라 전체 기업의 0.08%에 불과하지만 전체 고용의 8.8%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일자리 창출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만큼, 중견기업들이 애로를 겪고 있는 판로확보와 R&D 등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