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분한 수면이야말로 건강한 삶의 기본요소다. 하지만 노화가 진행되면서 수면이 불규칙해지고 일찍 잠들고 새벽에 깨어 다시 잠들기 힘든 생활이 반복되다 보면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가 되기도 한다.

불면증이란 잠들기가 어렵거나, 일단 잠이 들었더라도 중간에 자주 깨거나 너무 이른 새벽에 깨는 증상을 일컫는다. 불면증은 모든 연령층에서 나타날 수 있으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더 흔하게 나타난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약 절반가량이 불면증을 호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노인에게 불면증이 더 흔하게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복합적인 원인에 의한 노인성 불면증

노인성 불면증의 원인은 매우 복합적이다. 우선, 정상 노화 과정과 함께 나타나는 수면 패턴의 정상적인 변화를 들 수 있다. 수면은 급속안구운동(rapid eye movement, REM) 주기와 비급속안구운동(nonrapid eye movement, NREM) 주기가 번갈아 가면서 나타나게 되는데, 노인일수록 NREM 주기가 짧아지고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단계인 서파수면(slow wave sleep, SWS)이 거의 사라짐으로써 수면 효율성과 총 수면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나이가 들면 들수록 일주기 리듬이 전반적으로 예전보다 앞당겨지면서 수면을 유도하는 물질인 멜라토닌의 분비 역시 일찍 끝나기 때문에 수면 유지가 어렵게 된다. 수면 중 소리나 빛과 같은 자극에도 민감해지기 때문에 잠에서 깨기 쉽다.정상적인 수면 패턴의 변화 외에도 병적인 불면증의 원인은 무수히 많다. 불안이나 우울과 같은 감정적 원인, 급성 질환이나 수술, 가족의 죽음과 같은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통증과 같은 신체적 원인,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하지 불안 증후군이나 주기적 사지 운동 증후군과 같은 정신과적 질환이 불면증을 유발한다. 음주, 흡연, 카페인 섭취나 복용 중인 약물도 수면 패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밖에 배우자의 수면습관, 이웃의 소음과 같은 외부 환경의 영향도 불면증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치매로 오인될 수 있는 불면증

오랜 기간 불면증이 지속되면 우울증에 걸리거나 낙상의 위험이 증가한다. 밤에 잠들기 어렵고, 새벽에 자주 깨고, 아침에 일어났을 때 푹 잔 것 같지 않은 느낌으로 인해 낮 시간에 꾸벅꾸벅 졸게 된다. 주의력 및 기억력이 저하될 수 있고 반응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신체적, 정신적으로 피로한 상태로 지내기 때문에 일상적인 자극에도 쉽게 예민해지고 불안해하기도 한다. 삶의 질이나 수행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치매로 오인되기도 하며 심한 경우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원인질환 치료가 우선

노인의 불면증은 동반된 신체 질환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에 무조건 수면제부터 복용하는 것은 오히려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우선적으로 불면증의 원인이 신체 질환에 의한 것이 아닌지를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며, 철저한 신체검사와 필요하다면 혈액채취와 같은 실험실 검사도 시행해보아야 한다.불면증을 유발하는 원인 질환이 있다면 이에 대한 치료를 우선적으로 하게 되며, 수면 위생교육을 통한 수면습관 개선이나 심리조절을 통해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면증이 지속된다면 의사의 처방하에 약물치료 및 인지행동치료를 시행해 볼 수 있다.약물치료의 경우 진정효과가 큰 항불안제 및 항우울제가 주로 사용되는데 치매가 동반되거나 정신병적 증상을 보이는 노인에게는 소량의 항정신병 약물이 불면증 치료에 사용되기도 한다. 앞서 설명한 멜라토닌 수용체 효현제는 노인의 만성 불면증 치료에 효과적이다. 이 밖에 초저녁잠이 많아 이른 새벽에 일어나는 노인의 경우에는 잠들기 전 일정량의 빛을 쬐어주는 광선 치료(light therapy)가 도움이 되기도 한다.

18

본 기사는 건강보험 제 2013.8월호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