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유럽 등 선진국이 양적완화(QE) 축소(Tapering)를 호재로 받아들이고 있지만, 일본과 중국에서는 혼란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단기적인 유동성 경색인 반면, 일본은 장기적은 엔저 심화라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일본은 양적완화 축소로 엔화 약세가 더 심화될 전망이다. 20일 외신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9일 발표된 미국의 출구전략 개시가 일본의 양적완화 유지 정책과 맞물려 엔·달러 환율 상승(달러 대비 엔화 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양적완화 축소로 시장에 풀렸던 달러 유입량이 줄어드는 반면 일본의 금융완화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엔화 가치 추가 하락은 당분간 불가피한 상황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19일(현지시간) 외환 전문가들을 인용해 엔·달러 환율이 금융위기 직전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엔·달러 환율은 리먼브라더스 파산 며칠 전인 2008년 9월 9일 달러당 108엔까지 오른바 있다.

크레디트아그리콜은 내년 엔·달러 환율이 달러당 115엔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스미모토미쓰이은행의 이시바시 마사루는 “엔·달러 환율이 내년 1분기에는 110엔에 도달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블룸버그가 최근 집계한 주요 IB(투자은행)들의 내년 엔·달러 환율 전망 중간치는 1분기 102엔, 연말 110엔에 달한다. 크레디트스위스와 모건스탠리 등은 내년 4분기 중 달러당 120엔까지도 올라갈 수 있다고 내다봤다.

WSJ는 달러 강세와 엔화 약세를 불러온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엔·달러 환율이 상승할 것이라는 시장의 예상이 확산되는 가운데 이뤄졌다는 점에 주목했다. 양적완화 축소로 엔화 가치 하락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다는 의미다.

일본 엔화 환율은 미국 달러화 강세의 여파로 미국 금융위기 당시인 지난 2008년 10월 이후 5년 2개월 만에 처음으로 104엔 선을 넘어섰다. 문제는 ‘엔저가 더욱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데 있다. 일본이 경기둔화 우려 때문에 내년 4월 소비세 인상을 앞두고 추가 양적완화에 나설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김형렬 교보증권 연구원은 “일본의 추가 경기부양정책이 논의되며 엔화 약세가 다시 촉진되는 상황”이라며 “엔화 약세가 심해질 것으로 예상되다보니 일본과 경쟁 관계에 있는 산업별로 투자심리가 나빠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도 양적완화 축소에 단기 유동성 경색 현상이 나타났다. 상하이 증시는 지난 20일, 상승으로 개장했다가 1%가량 하락한 채 마감했다. 양적완화 축소 결정이 미국 경제의 회복세를 확인해준 것으로 해석되면서 외국 자본이 빠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자산매입 축소가 이미 예상된 사안인데다 규모도 비교적 작아 중국에 미치는 악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