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졸업시즌이다. 선택받은 일부 대학 졸업생들은 졸업과 동시에 혹은 졸업 전에 취업관문을 통과했지만 적지않은 졸업생이 백수대열에 합류하고 있다.

고사성어 ‘춘래불사춘(春來不事春·봄이 와도 봄이 오지 않았다)’ 절실히 느끼고 청년들이 적지않다. 3인의 생생한 취업성공기를 담아봤다. (편집자주)

대한항공 김진주 사원
“붕어빵 방정식 거부…별종으로 살아보기”

대한항공에 근무하는 김진주씨(여·25)는 러시아에서 7년을 살았다. 잘 다니던 모스크바국립대학교를 포기하고 국내 대학에 편입했다.

서울대 보다 좋다는 모스크바국립대학교의 간판은 살아가는데 중요치 않다고 생각했다. 러시아어가 좋아 시작했으니 러시아어를 활용할 수 있는 일이 필요했다.

“신입사원 연수를 잊을 수 없어요. CF를 만들어 보고, 대한항공 신문도 만들고 다양한 활동은 정말 흥미로웠어요. 대한항공이 글로벌 항공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다 이유가 있구나 하는 생각을 했죠. 동시에 제가 할 수 있는 일이 많을 것 같다고 생각했죠.(웃음)”

김씨는 대한항공 신입사원 연수를 방금 마친 따끈한(?) ‘신입 사원’답게 활기차다. 한국지역 서비스센터에서 시작하게 될 업무에 대한 기대감이 넘친다.

취업대란에서 해방 됐으니 좋아서 그럴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 즐거움이 삶 자체에 배어 있다. 남들 보다 빠르게 취업에 성공한 것도 긍정적인 사고방식이 큰 역할을 했다.

그는 엘리트 집단이 되기를 포기했다. 모스크바국립대학교를 졸업했다면 세계 유수의 기업에서 그를 고용하기 위해 온갖 노력을 했을지 모른다.

그러나 그는 그저 그런 학생이고 싶었다. 모스크바국립대학교를 나와 외국계 기업(미국 기업 등)에 취업을 하는 것은 그의 꿈이 아니었다. 러시아어가 좋았고, 러시아어를 활용하는 일을 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한국으로 돌아가자.” 그는 생각을 실천으로 옮겼다. 국내 대학의 러시아어문학과로 편입을 했다. 쉽지 않은 결정을 너무도 쉽게 내렸다.

편입 이후 막상 졸업을 앞두고 취업 걱정도 됐지만 스펙 쌓기보다 러시아어를 숙달하는데 많은 시간을 투자했다.

“국내 대학으로 편입 후 아르바이트로 러시아어 통번역을 했어요. SBS 특집 다큐멘터리, 서적 등 분야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죠.

이곳저곳 이력서를 제출하기도 했지만 스펙 쌓기보다는 러시아어를 손에서 놓을 수 없더라고요. 러시아어를 활용 한 일을 하고 싶었거든요. 그러던 중 대한항공에 지원, 러시아어를 한다는 것이 취업에 도움이 됐죠.

‘고정관념’에서 벗어난 생활방식이 성공취업의 지름길이 된 셈이다. 최근 신입사원 연수를 마친 김씨는 2년 간 한국지역 서비스센터에서 현장 실무 업무를 시작하게 된다. 김씨는 “최대한 열심히 노력해 대한항공이 글로벌 항공사로 성장하는데 일정부분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에델만 코리아 고은혜 사원
“취업 생각 버리니 취업의 길 열렸다”


취업 성공의 법칙은 정해진 것이 없다. 그렇지만 모든 사람에게 취업 준비 기간은 어렵고 힘들기만 한 고난의 시간이다. 대학 캠퍼스가 떠나갈 정도로 울리던 20대의 웃음과 패기 넘치는 함성이 사라진 이유다.

“취업을 위해선 20대의 청춘을 마음껏 즐길 필요가 있습니다.”에델만코리아 고은혜 사원(여·27)의 생각이다.

대학 생활(동아리, 자원봉사활동 등) 자체가 취업에 엄청난 도움이 되는 것을 몸소 체험했기 때문이다. 모든 구직자의 선망의 대상인 외국계 기업, 그것도 커뮤니케이션 기업(PR)에 취직한 그가 말하는 해법치고는 싱겁기만 하다.

“스펙을 쌓는 것도 좋지만 다양한 경험을 해보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요. 스펙으로만 따지면 회사 내에서 저는 명함도 내밀지 못해요. 하고 싶은 일과 해보고 싶은 일을 마음껏 즐기니 자연스레 취업으로 이어지더라고요.”

에델만코리아는 국내 최고 PR회사로 꼽히는 곳이다. 글로벌 기업으로 전 세계 54개국에 포진, 직원 수는 3200명에 달한다. 글로벌 기업이다 보니 유학파 직원을 선호한다. 정규채용도 드물다.

고씨는 에델만코리아에서 찾아보기 드문 순수 국내파다. 외국어와는 동떨어진 국어국문학을 전공했다. 그런 그가 에델만코리아에 취업을 할 수 있었던 건 대학 생활을 즐겼던 것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방학 중 2개월 간 일할 수 있는 학생인턴직에 지원을 했어요. 2개월 이란 기간이 매력적이었죠. 광고에 관심이 많아 꼭 해 보고 싶은 일이었어요.

덕분에 열심히 했고요. 2개월 기간이 끝났을 때 회사에서 1년 연장을 제안 받았고, 지난해 3월 정규 직원으로 채용됐죠. 대학 생활 중 다양한 사회 활동 경험을 높이 평가 됐다고 들었어요.”

취업에 대한 압박감에서 벗어난 것이 취업문제의 해법이 됐다는 얘기다.
실제 고씨는 대학 생활 중 취업 준비 보다는 영화제 스텝, 문화 단체 활동 등에 많은 시간을 투자했다.

광고업계에 대한 관심으로 혼자서 신문방송학과 전공 수업도 받았다. 대학 재학 기간 해보고 싶은 일, 하고 싶은 일을 해보는 것 자체가 즐거웠기 때문이다. 취업은 뒷전이었다.

“취업에 대한 고민은 많았죠. 대학생의 공통 문제잖아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 게 좋을지에 대한 고민들. 저는 답을 찾을 수 없더라고요.

그렇다고 주변에서 조언을 얻기도 힘들었어요. 고민만 하기 보다는 직접 현장에서 부딪혀 보자고 생각했죠. 해보고 싶었던 일은 모두 했어요.

그때마다 밖에서 보는 것과 안에서 보는 것이 전혀 다르다는 것을 느꼈죠. 다양한 사회 활동이 취업에 대한 생각을 바꾸는 계기가 됐어요.”

최근 고씨는 국내 최고 PR전문가가 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입사 한지 1년이 채 되지 않았지만 업무를 통해 실력도 인정받고 있다.

그는 “취업은 회사가 구직자를 평가하는 것과 동시에 구직자가 회사를 평가한 뒤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스펙 쌓기를 위해 독서실에만 있는 것 보다 많은 경험과 주변 사람의 귀를 기울이는 것이 새로운 취업 비법”이라고 강조했다.

정무영 메트라이프생명 보험설계사
“잔꾀보다는 빈약한 정성이 낫죠”

아버지는 힘들지 않겠냐고 했다. 마음을 다칠 까봐 걱정이라고도 했다. 정 씨는 메트라이트 생명의 2년차 보험설계사이다.

작년 가을학기에 지방대를 졸업한 정씨는 대학시절부터 금융분야에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 증권 거래사, 파생상품 거래사 자격증 취득에 공을 들였다.

전공은 전자학이었다. 같은 과 동기들은 그런 정씨를 의아한 눈으로 쳐다보았다. 분위기도 그랬다.

한 해전(2008년) 미 월가에서는 대공황 이후 최대의 경제위기라는 금융위기가 발발했다. 금융위기의 직격탄을 맞은 은행, 증권, 보험 등 금융 부문 기업들의 문호는 바늘구멍이었다.

지방대에서 전자학을 전공한 그에게 선뜻 일자리를 줄 금융사는 없었다. 동기들은 삼성전자를 비롯한 전자업계로 대거 몰려갔다.

금융위기 국면에서 ‘환율 효과’로 수익성이 개선되며 선전한 기업들이 대개 이 분야였다. 하지만 대학시절 외도를 한 그는 이마저도 여의치 않았다.

40여 군데에 지원서를 제출했으나, 최종 합격의 좁은 문을 통과하는 일은 힘들었다. 낙타가 바늘구멍을 통과하는 격이었다.

그러던 차에 평소 친하게 지내던 대학 선배가 보험회사 행을 권유했다. 기쁨도 잠시였다. 이 대학 선배가 제시한 일자리는 ‘펜대를 굴리는 사무직’이 아니었다.

정 씨는 “은행이나 증권사 등 안정적인 직장에 취업하고 싶었으나, 당시로서는 역부족이었다”는 것이 그의 솔직한 토로이다.

그의 ‘스마트폰’에는 한눈에 보기에도 상담 일정이 빼곡히 기재돼 있었다. 정 씨는 동년배 설계사들 중 실적이 가장 좋은 편에 속하는 선두주자이다.

늘 ‘을’의 입장에서 고객을 설득해야 하는 보험 영업일은 세상물정 모르던 대학생을 많이 바꾸어 놓은 듯 했다.

“아는 사람이 많기로 소문난 보험설계사도 6개월이면 인맥이 바닥이 납니다. 좋은 실적을 유지하려면 전략이 있어야 합니다.”

정씨는 기업체를 방문해 재무상담 세미나를 열거나, 증권사에 다니는 친구와 고객들을 서로 교차 추천한다. 신규 가입 고객에게 지인을 추천받아 천리를 마다않고 방문하는 것은 기본이다.

정씨는 5년후 ‘COT(Court of Table)’, 10년후 ‘TOT(Top of Table)’회원이 되고 싶다고 했다. 이 두 직함은 보험업계가 가히 ‘신의 경지’에 오른 인물로 평가하는 기준이다.

그는 “잔꾀가 변변치 못한 정성을 당해낼 수 없다는 점을 지난 1년간 깨달았다”고 덧붙였다.

박영환 기자 blade@asiae.co.kr
김세형 기자 fax123@asia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