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Review

위대함 낳는 매직넘버 1만시간

발문
저자는 위대한 성공은 놀라울 정도로 복잡한 조건을 갖춰야 한다고 말한다. 성공으로 가는 수많은 벽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타고난 자질에 본인의 노력과 사회적
여건, 엄청난 양의 행운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발문
빌 게이츠와 비틀스의 공통점은 그들이 모두 정상의 자리에 오르기 위해 1만시간의 연습을 했다는 점이다. 한 분야에서 최고의 자리에
오르기 위해서는 1만시간의 반복적인 연습과 노력이 필요하다.

《아웃라이어》
- 말콤 글래드웰 지음 - 노정태 옮김
- 김영사 펴냄 - 1만3000원

세계 역사상 가장 부유한 75인 중 14인이 같은 나라에서 같은 시기에 태어난 이유는? 록의 제왕 비틀스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창업자 빌 게이츠, 컴퓨터의 선구자 빌 조이의 공통점은?
이들이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결정적 요인은 무엇일까? 그리고 그들의 성공에는 어떠한 일관적인 법칙이 있는 것은 아닐까?
그동안 보통 사람들의 범주를 뛰어넘는 탁월한 성공을 거둔 사람들을 보며 “저 사람은 똑똑하니까”, “그는 재능을 타고났으니까”라며 지극히 개인적인 특성을 나열해 왔다.
이러한 성공의 요인에 대한 고정관념과 기존의 철칙에 반기를 드는 책이 나와 눈길을 끈다.
단 2권의 책(《티핑 포인트》, 《블링크》)으로 〈월스트리트저널〉 선정 ‘21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경영사상가’(2008)와 〈타임지〉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2005)의 반열에 오른 저널리스트 출신 경영학자 말콤 글래드웰의 신작 《아웃라이어》가 그것이다.
‘아웃라이어’란 사전적 의미로 ‘본체에서 분리되거나 따로 분류되어 있는 물건’, ‘표본 중 다른 대상들과 확연히 구분되는 통계적 관측치’를 뜻한다. 하지만 저자가 말하는 ‘아웃라이어’는 조금 의미가 다르다. 그는 ‘보통 사람의 범주를 넘어선 성공을 거둔 사람’, ‘성공의 기회를 발견해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든 사람’을 아웃라이어로 통칭한다.
책은 크게 ‘특별한 기회’와 ‘문화적 유산’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성공의 비밀을 해부하고 성공에 대한 새로운 역할모델과 개념을 제시한다.
그는 선천적 자질과 후천적 학습 사이의 관계를 재정의하면서 개인이나 집단에게 허용된 시간, 장소, 가용자원이 그들의 성공이나 실패를 가름하는 결정적 요인이 된다는 논의에 힘을 실어준다.
저자는 “성공은 개인적인 특성뿐 아니라 주변 환경과 문화적 유산, 시·공간적 기회에 큰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한다.
역사상 가장 부유했던 75인 중 14인이 한 나라(미국)의 특정한 10년(1831~40년) 사이에 태어났음을 밝히는 대목(2장)은 가장 놀라운 대목이다.
1860년대와 70년대에 미국경제는 역사상 가장 큰 변화를 겪었다. 그 시기에 철도가 건설되기 시작했고 월스트리트가 태어났다. 공업생산 방식으로 혁명적 변화가 일어나는 동시에 전통적인 경제를 지배하던 규칙이 부서지고 새로운 규칙이 탄생한 것이다. 10년 사이에 미국에서 태어난 사람들이 1860~70년대에 몇 살이었는지가 관건임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이 책의 가치는 이처럼 우리가 지금까지 세상을 바라보던 것보다 조금 더 깊게, 조금 더 찬찬히 바라보도록 만들어준다는 데 있다.
빌 게이츠와 선마이크로시스템의 창립자 빌 조이의 성공 사례를 살펴보자.
이들에 대한 다른 책은 대부분 개인적 자질과 특별한 능력에 초점을 맞춘다. 그들의 타고난 지능, 그들의 무서운 집중력 등. 저자는 그들이 누렸던 기회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확장된 분석을 제공한다.
예컨대 빌 게이츠는 시애틀의 엘리트 사립학교에 들어갔고 그 학교의 어머니회에서 당시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들어보지도 못했던 시간 공유 컴퓨터 터미널을 덜컥 설치해 주는 행운을 누렸다.
마찬가지로 빌 조이는 미시간대학교가 컴퓨터 센터를 열기 시작한 직후에 그 학교를 다니기 시작했고, 그 컴퓨터 센터에서는 사상 최초로 프로그래머가 카드에 구멍을 뚫어가며 프로그래밍을 할 필요가 없는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었다.
만약 빌 게이츠가 다른 고등학교에 들어갔다면 혹은 빌 조이가 대학에 몇 년 일찍 들어갔더라면 오늘날의 컴퓨터 산업은 극적으로 다른 형태를 띠게 되었을 것이다.
그럼 비틀스를 이들과 비교하면 어떠한가. ‘이들 사이에 과연 공통점이 있을까?’라는 의문이 먼저 든다. 그것은 바로 비틀스의 함부르크 시절을 떠올리면 해답이 나온다. 그들은 그룹 초창기에 한 클럽에서 매일 8시간이 넘는 연습을 해야 했다. 그것은 그들에게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연습, 새로운 연주 방법을 시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첫 성공을 거둔 시점인 1964년까지 그들은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대략 1만시간의 연습을 했다. 저자는 이러한 현상을 ‘1만시간의 법칙’으로 정의한다. 이 법칙은 빌 게이츠나 빌 조이에 적용해도 마찬가지다.
빌 게이츠는 1968년 공유 터미널을 이용해 프로그래밍을 시작한 이후 1만시간을 그 일에 몰두한 뒤 마이크로소프트를 창립했고 빌 조이는 1971년부터 하루 10시간 씩 모두 1만시간을 컴퓨터 앞에서 보냈다.
저자는 신경과학자 다니엘 레비틴의 이야기를 인용하며 ‘1만시간’은 위대함을 낳는 매직넘버라는 점을 강조한다. 한 분야에서 최고의 자리에 오르기 위해서는 1만시간의 반복된 연습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2장).
책의 요점은 좀 더 일반적인 차원에서 성공은 놀라울 정도로 복잡하다는 것이다. 타고난 자질이 요구되긴 하지만 성공으로 가는 수많은 벽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더 많은 것들이 요구되며 엄청난 양의 행운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성공의 다른 축으로 ‘문화적 유산’을 빼놓을 수 없다.
저자는 문화적 유산에 대한 사례로 ‘대한항공’을 다루고 있어 특히 흥미롭다. 1997년 대한항공 괌 추락 사건의 원인을 단순한 기계고장이나 날씨, 조정의 미숙함이 아닌 문화적 유산을 거들떠보아야 한다는 그의 논리는 씁쓸하면서도 수긍이 가는 대목이다. 즉 우리나라의 경우 윗사람에게 예의를 갖춘다는 이유로 간접적으로 돌려 말하는 ‘완곡어법’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언어습관은 ‘1분1초’의 판단에 따라 생사를 결정지을 수 있는 비행기 조종석에서는 큰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7장 참조).
이 책의 또 다른 특징은 국내 심리학계를 이끄는 젊은 학자인 서울대학교 최인철 교수가 감수를 통해 심리이론과의 연결지점을 찾고 국내 실정에 맞는 방향을 제시해 그 권위를 더하고 있다는 점이다.
최 교수는 이 책이 21세기 대한민국에 시사하는 바를 3가지로 정리한다.
첫째 천재적 재능이 아니라 자기 분야에서 최소한 1만 시간 동안 끊임없이 노력한다면 누구나 아웃라이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CEO나 부모들은 직원이나 자녀들이 후천적 재능과 가능성을 꾸준히 계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시간을 줄 것.
마지막으로 한국을 빛낼 천재를 무작정 기다릴 것이 아니라 그런 아웃라이어들을 만들어낼 수 있는 문화적 유산과 기회를 제공할 것을 주문한다.
아시아경제신문 조용준 기자 (jun21@asiae.co.kr)

이형구 기자 lhg0544@ermedia.net


키워드

#북리뷰